[데스크칼럼] 폐사가축 위생처리 관심 높여야

구제역 살처분가축 매몰 ‘환경재앙’…도내 농가 자율처리 관리 사각지대

2011-02-13     한경훈

폐사가축 위생처리 관심 높여야 

구제역 후폭풍이 거세다.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가축 매몰로 인한 환경오염이 재앙 수준이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구제역 확산에 따라 지금까지 살처분된 소와 돼지는 우리나라 전체 1500여만마리 중 20%가 넘는 320여만마리로 집계됐다.
그런데 가축 매몰 후 흘러나온 침출수로 인한 환경피해가 심각한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전국 4000여곳에서 핏물 섞인 침출수가 흘러나오고 악취가 진동하는 등 2차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침출수에 의한 토양과 지하수 오염이 우려되는 데다 가축을 묻을 장소가 여의치 않아 하천변이나 산비탈, 계곡에도 가축을 묻다보니 해빙기 붕괴 유실마저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환경부가 최근 수도권 식수원인 팔당댐 등 한강 상류지역에 위치한 구제역 매몰지 32곳을 현장 조사한 결과 이 가운데 16곳이 붕괴 등 우려가 있어 보강공사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가운데 11곳은 한강 본류나 지류로 흘러드는 하천변에서 불과 3~30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침출수가 유출될 경우 오염물질이 한강에까지 흘러드는 상황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일각에서는 동물 사체가 부식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침출수가 지하수나 식수를 오염시켜 인수공통바이러스가 창궐하거나 전염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구제역으로 인한 재앙이 동물에서 멈추지 않고 인간에게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구제역 살처분가축 매몰 ‘환경재앙’

다행히 제주는 아직까지 구제역 안전지대로 남아있다. 가축전염병 ‘청정 지위’를 포기하면서까지 구제역과 관련해 처음으로 예방백신 접종도 했다.
백신접종 카드를 꺼내든 주요한 이유는 구제역으로 인한 축산업 붕괴를 막는 것은 물론 만에 하나 구제역이 발생해 대규모 가축 살처분이 진행될 경우 있을 수 있는 지하수 오염을 걱정했기 때문이다.
육지부에서 일부 살처분 가축을 잘못 매몰하면서 침출수 유출 등 환경오염를 야기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백신접종 선택에 고개에 끄덕여진다. 예방백신이 구제역을 100% 막지는 못하지만 선제적 대응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판단된다.
당국은 구제역이 제주에 발붙이지 못하도록 완벽한 방역체제 구축에 만전을 기해야 하겠지만 이번 구제역 사태를 계기로 제주의 생명수인 수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폐사가축의 위생적인 처리에도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하겠다.

도내 농가 자율처리 '관리 사각지대
 


지역의 양돈장에서는 질병과 화재 등으로 매년 수만 마리의 폐사돈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위생처리시설이 부족해 그 중 상당량이 개별농가에서 매몰 등으로 처리되면서 침출수 발생 등 환경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도내 양돈장에서의 연간 폐사돈 발생량은 전체 사육두수의 3% 정도로 추정된다. 제주시지역만 해도 돼지 사육두수가 36만 두에 이르므로 연간 폐사돈 발생량은 1만두가 넘는다는 계산이다.
이 중 50%는 대규모 양돈단지를 중심으로 조성된 폐사가축처리시설(제주시지역 11곳)에서 소각 등으로 위생적으로 처리되고 있으나 나머지 50%는 개별농가가 매몰 등으로 자체 처리하고 있다.
그런데 농가들이 법규정에 의한 매몰기준을 준수하며 폐사돈을 처리하고 있는지는 누구도 모른다. 행정이 모든 농가를 관리·감독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폐사돈을 여하히 처리할 것인가는 농가 자율과 양심에 맡겨진 상태다. 처리비용 부담 등을 감안하면 농가들이 매몰처리하고 있는 폐사가축이 지하수 오염원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폐사가축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체 매몰기준 강화와 함께 매몰지에 대한 정기적 점검이 필요하다.
특히 현재 대규모 양돈장을 중심으로 지원하는 위생처리시설 설치를 소규모 농가로 확대하는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