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주에서 정당정치 필요한가
2010-06-07 제주타임스
6·2지방선거는 제주지방 정치, 특히 지방정당 정치에 대한 회의를 부르기에 충분 했다. 지방선거에서의 정당정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사실 이번 제주지역 6·2지방선거는 정당정치의 무력감을 여실히보여준 ‘정당무용론’을 일깨웠던 행사라는 데 동의하는 사람들이 많다.
집권여당인 한나라당은 도지사 후보를 내지 않았다. 그러면서 도당위원장등이 무소속 후보 선거운동에 나서면서 한나라당의 정체성을 불투명하게 만들어 버렸다.
제1야당인 민주당도 마찬가지였다. 아권 통합을 이뤄 도지사 단일후보를 냈으면서도 민주당 당원들이 자당후보를 버리고 대거 무소속 후보 진영으로 합류해 버림으로써 역시 당의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부르게 했다.
당보다는 사람에 따라 이합집산했던 6·2 지방선거에서의 집권여당과 제1야당의 행태는 제주지역에서의 ‘정당무용론’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제주에서는 지방선거 후보자들에 대한 ‘정당공천제’를 없애버리자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정당보다는 인물론을 내세우는 이러한 주장은 그것의 제도적 시행여부에 관계없이 많은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은 사실이다.
무소속 지사가 업무수행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무소속 지방의회 의원들 역시 의정활동을 하는 데 지장을 받지 않을 것이다.
그만큼 지방에서의 정당정치에 대한 불신을 이야기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새로 구성되는 도의회에 ‘정당보다는 도민을 위한 의정활동을 하라’는 주문일 수도 있다. 정당보다는 도민을 위한 의정을 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