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특산식물을 한곳에"
도환경자원연구원, 관련 보고서 발간…체계적인 종보전 전략 필요성 제기
제주도환경자원연구원(원장 강관보)에서는 제주지역에 자라는 특산식물에 대한 정보를 한 곳에 수록한 <제주지역의 특산식물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에 발간된 보고서에는 지난 3년 동안 제주 전역을 대상으로 한 현지조사를 통해 특산식물의 분포현황, 식물 종별 분류 및 생태적 특성과 함께 보존과 이용방안에 대한 연구결과가 수록됐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제주지역에만 분포하는 제주특산식물은 긴다람쥐꼬리 등 56종류로 확인됐으며, 제주를 포함, 우리나라 일부 지역에 분포하는 한국특산식물은 구상나무 등 총 32종류로 나타나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은 총 88종류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지금까지 제주특산식물로 알려진 바위좀고사리 등 5종류는 외국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돼 특산식물 목록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도 제시했다.
이들 특산식물은 해안지역에만 주로 자라는 갯겨이삭이나 백양더부살이부터 한라산 정상에만 자라는 한라솜다리에 이르기까지 제주 전역에 분포하는데, 식물 종류별로 서로 다른 분포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라산 해발 1400m 이상 지역에 가장 다양한 종수의 특산식물이 집중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제주지역 특산식물 중에서 구상나무와 같은 일부 수종을 제외하고 지리산오갈피, 한라솜다리, 모데미풀, 한라각시둥굴레 등 대부분 식물이 개체수와 분포 범위가 극히 한정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인위적 또는 자연적인 요인에 인해 자생지 면적 감소나 개체수 감소 등의 위협요인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체계적인 종 보전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주지역의 특산식물중 90.9%가 약용, 식용, 관상용 등의 자원적인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산식물의 67.1%에 해당하는 59종류는 식물체 일부가 약용자원으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자원연구원은 앞으로 산림청 국립수목원과 협조해 특산식물을 대상으로 증식 등을 통한 종 보존 추진과 더불어 지속적인 제주지역 내 특산식물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연구 및 모니터링을 실시해 특산식물의 체계적인 보존을 위한 연구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