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서 뎅기열 모기유충 첫 발견

아열대 징후…열대 풍토병 출현 우려

2010-02-08     좌광일

 열대.아열대 지방의 대표적 풍토병으로 꼽히는 ‘뎅기열’ 바이러스를 옮기는 흰줄숲모기 유충(알)이 국내 처음 제주에서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대 의학전문대학원 이근화 교수팀은 최근 열린 ‘한반도 기후 환경변화와 국민의 건강’ 포럼에서 “뎅기열 매개체인 ‘흰줄숲모기(아시아 타이거 모기)’가 2008년부터 서귀포시 지역에서 채집된데 이어 겨울철인 2009년 12월에는 서귀포시 보목동의 물웅덩이 등에서 유충이 처음으로 발견돼 질병관리본부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뎅기열 바이러스를 가진 ‘흰줄숲모기’에 물리면 발열, 두통, 근육통, 발진,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특히 뎅기열 환자가 다른 형태의 뎅기바이러스에 2차 감염되면 출혈과 순환장애를 일으키는 뎅기출혈열로 발전, 쇼크 증상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뎅기열은 1991년~1994년간 아태 지역을 휩쓸어 35만명의 환자를 발생시킨 바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뎅기열이 한반도에서 직접 발생했다는 보고는 없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제주도뿐만 아니라 한반도 전역이 아열대화되면서 열대지방에서나 볼 수 있는 풍토병 위험이 국내에서도 커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특히 겨울철인 12월에 흰줄숲모기 유충이 발견됨으로써 이미 이 모기가 제주도에 토착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제주대의대와 공동으로 이달부터 ‘제주지역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를 운영, 제주지역에서 우선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뎅기열 등의 열대 질환을 감시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