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신보 대위변제율 높아
보증사고 245건 중 153건(34억) 대신 갚아
신용관리 강화ㆍ분할상환 약정 유도
2009-12-08 임성준
이는 금융위기로 인해 소기업.소상공인들의 경영여건이 악화되고 실물경제 위축으로 지역경제 침체에 따른 부도나 자금 압박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개인회생.파산으로 인한 사고 발생이 구상채권의 47%를 차지하고 있다.
8일 제주신용보증재단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보증사고는 245건이 발생, 금액으로는 58억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153건 34억원이 대위변제됐다. 나머지 68건은 정상화됐지만 24건은 미해결로 남아 있다.
재단이 대신 빚을 갚아 준 153건 중 13건 4억원만 회수됐을 뿐 140건(30억원)은 회수되지 못하고 구상권 행사가 진행 중이다.
제주신보의 보증사고율은 1.37%로 전국 평균 2.28%보다 낮지만 대위변제율은 1.59%로 전국 평균 1.46%보다 높다.
제주신보는 이에 따라 신용관리 강화로 재단 경영의 안정성을 확보키로 했다.
은행연합회 조기경보관리를 통해 보증업체 신용정보를 조기 파악하고 국세청 휴.폐업 조회, 금융기관 대출이자 연체유무 확인 등 3단계 사고 예방 시스템을 정립하기로 했다.
또 자체신용회복지원제도와 분할 상환 약정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업체별.유형별 구상채권 회수 조치를 강화하기 위해 신용관리정보를 재단 단독으로 규제자에 대해 특별관리하고 국토해양부 지적전산정보자료를 통해 재산이 발견되면 즉시 채권보전조치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