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中企 정책자금 ↓

정부예산 절반으로 '뚝'…제주, 200억원 밑돌듯
소상공인 지원예산 70% 삭감…운전자금 확보 비상

2009-11-09     임성준
중소기업 정책자금 융자규모가 새해 대폭 축소될 전망이어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지역 중소기업의 자금줄을 더욱 옥죄고 있다.

9일 중소기업 지원기관 등에 따르면 현재 국회에서 예산심의 중인 내년도 중소기업정책자금 규모는 3조1000억원으로 올해 5조9000억원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었다.

특히, 감액예산 대부분은 원부자재 구입과 마케팅 등에 활용되는 긴급경영안정자금과 영세상인 지원을 위한 소상공인지원자금으로 올해보다 70∼80% 정도 삭감될 예정이어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운전자금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긴급경영안정자금예산은 올해 1조5000억원에서 내년 2500억원으로, 소상공인지원예산은 1조원에서 3000억원으로 축소될 처지에 놓였다.

중소기업 정책자금 전체 예산이 3조1000억원 규모로 축소될 경우 제주지역에는 소상공인지원자금을 포함해 200억원 이하의 예산이 배정될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타 지역에 비해 자생력이 취약한 도내 중소기업들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이는 올해 중소기업진흥공단 제주지역본부에 배정된 300억원에도 못 미치는 규모다.

중진공 제주지역본부 관계자는 "올해 배정된 자금은 사실상 지난 10월에 모두 소진됐다"며 "최근에도 지원을 요청하는 기업이 줄을 잇고 있으나 예산 부족으로 자금지원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최근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중소기업 대상 정책자금 수요 설문조사에서는 중소기업의 89.4%가 '내년에도 정책자금을 신청하겠다'고 답했다. 이중 시설투자와 원자재 가격상승에 따른 중소기업의 정책자금 수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진공 제주본부 관계자는 "중소기업들이 체감하는 경기회복 속도는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디다"며 "정책 자금의 급격한 축소는 시설투자 위축 등 자금난을 초래할 우려가 크며, 수출환경 변화에 따른 수출금융자금과 기업 구조조정을 위한 사업전환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