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임금 등 차별 존재"
"임신.출산으로 회사 떠난다" 39.5%
민노총 등 관광서비스 비정규직 302명 조사
2009-10-16 임성준
또 비정규직 여성의 경우 39.5%가 임신과 출산으로 회사를 떠난다고 응답했다.
이는 민주노총제주본부, 공공노조제주지부, 제주대안연구공동체가 함께 일하는재단의 지원을 받아 공동으로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호텔과 골프장 등 지역 관광서비스분야 비정규직 노동자 302명을 면접 조사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16일 설문결과에 따르면 비정규직은 정규직보다 임금이 낮거나 명절 휴가비, 특별상여금, 학자금, 의료보조금, 중식대, 경조금 등 각종 수당을 적게 받느냐는 조사에 대해 '매우 그렇다'가 23.4%, '그렇다'가 38.9%, '보통이다'가 14.3%, '그렇지 않다'가 15.5%, '전혀 아니다'가 7.9%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62.3%가 차별이 존재한다고 인식한 반면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15.5%에 불과했다.
정규직과 동일한 업무를 담당하는 비정규직이 있다는 설문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다'가 12.5%, '그렇다'가 35.8%, '보통이다'가 14.4%, '그렇지 않다'가 23.0%, '전혀 아니다'가 14.4%로 조사됐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업무내용에 있어서 별로 차이가 없다는 인식이 48.2%를 차지했다.
직장에서 임신, 출산 이후 여성노동자들의 일자리를 어떻게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회사를 떠난다'는 응답이 39.5%에 달했으며 '복직한다'는 비율은 43.1%에 불과했다.
인근주민우선고용제에 폐지에 대해서는 반대 65.4%, 찬성 13.3%로 반대 의견이 많았다.
제주도의 고용정책에 대해 '거의 제대로 되는 것이 없다'가 36.1%, '중앙정부의 고용정책을 따른 수준이다'가 32.6%, '대체로 잘하고 있다'가 5.6%, '적극적으로 잘하고 있다'가 0.7%, '잘 모르겠다'가 25%로 조사됐다.
제주지역 노동정책 중 필요한 사항으로는 '일자리 창출 등 고용대책의 효율적 추진'이 58.8%,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복지향상' 16.6%, '효율적인 실업대책 추진' 11.1%, 협조적인 노사관계 구축'이 9.3%, '노동조합에 대한 정책적 지원' 4.2%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민주노총 제주본부, 공공노조 제주지부, 제주대안연구공동체는 19일 오후 7시 리더십센터에서 관광서비스분야 비정규직 실태와 대안모색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날 토론회는 임기환 민주노총 제주본부 교육위원장의 사회로 김경란 민주노총 정책국장의 한국사회 비정규직 현실과 대안, 김동도 공공노조 제주지부장의 제주지역 관광서비스산업 비정규직 노동자 실태조사 결과 발제가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