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버스, 신종플루 '직격탄'
수학여행 잇단 취소…가동률 전국 최저
일부 업체 도산 위기…특단 지원책 시급
신종플루 여파로 수학여행 등 단체관광이 줄줄이 취소되면서 전국에서 도내 전세버스 업계의 타격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통해양위원회 소속 자유선진당 이재선 의원은 23일 신종플루 관련 전세버스등 관광버스 업계의 가동률을 조사한 결과 지역별 운영에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지난 4월 지역별 평균 가동률이 71%이었지만 4월 말 첫 신종 플루 감염자가 나타난 이후 5월(69%)·6월(62%) 하강세에 이어 7월에는 급기야 42%대로 떨어졌다.
지역별 가동률의 경우 제주가 4월 67%, 5월 69%, 6월 67%, 7월 20%로 급락해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경남 23%, 경북 25%등이 뒤를 잇고 있다. 반면 서울(69%), 부산(67%)등은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관광버스회사들의 심각한 경영난은 신종 플루 확산으로 인해 전국 각급 초·중·고교의 수학여행 및 야유회 등 학생과 일반 단체의 행사가 줄줄이 취소된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처럼 경영난이 심화되면서 사무실 운영비는 물론 보험료, 할부금 등을 내지 못해 일부 업체가 도산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
실제 도내 56개 전세버스업체에서 1600대를 보유하고 있지만 수학여행 시즌인 9월 들어 수학여행과 단체관광 취소로 가동률이 크게 떨어져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전세버스운송사업조합 관계자는 "버스 한대당 1억2000~3000만원에 구입해 평균 12년을 운행하기 때문에 한달에 1000만원은 벌어야 겨우 적자를 면하는데 신종플루 여파로 거의 모든 회사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연말까지 불황이 지속될 경우 전체 관련업계 매출 손실이 무려 3000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정부가 관련업계의 경영난 타개를 위해 할부금이나 각종 보험료 등의 납부 유예조치 등 특단의 지원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