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주에 중국영사관 설치 필요

2009-09-10     제주타임스



‘향후 제주 최대의 관광시장은 중국이 될 것’이라는 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

지리적으로든, 관광객 수로든, 교류 상황으로든, 현재로선 이를 능가할 관광시장은 보이질 않는다.

특히 제주는 중국인 무사증 입국이 가능한 지역이다.

이 같은 무사증 확대 실시로 제주를 찾는 중국인 관광객 수도 해마다 증가 일로다.

지난해만 해도 17만4000명이 다녀갔다.

올해 8월말 현재 벌써 15만명을 넘어섰다.

그동안 외국인 관광객 수의 단연 1위는 일본인 관광객이었다. 그런데 중국인 관광객이 일본을 앞지르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다 기상악화에는 동중국해에 조업을 나섰던 중국 어선들의 주요 피항처가 제주다.

그만큼 중국인과 관련한 외교문제와 중국인 관련 신병처리 문제 증가요인이 많아지고 있다.

그래서 이들 중국인 관광객과 피항 중국어선 선원 등의 신변보호와 신상문제를 다룰 중국 총영사관이 제주에 설립외어야 한다는 주문이 나오는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제주도와 서귀포시 등 제주의 행정기관 또는 각급 단체와 중국 주요도시와 단체 간의 국제결연사업으로 활발한 교류협력이 이뤄지고 있다.

이 같은 제주와 중국 간의 활발한 교류도 제주에 중국영사관 설립의 필요성을 말해주는 것이다.

마침 9일 제주상공회의소 ‘CEO 경영혁신 아카데미 강연’을 위해 제주를 방문했던 청융화 주한 중국대사에게 현승탁 제주상공회의소 회장은 “제주에 중국영사관을 설립할 수 있도록 본국에 건의하는 등 역할을 해달라”고 건의하기도 했다.

이 같은 건의가 아니더라도 중국 측은 자국인 보호와 관리를 위해서라도 주 제주중국영사관 설치가 필요할 것이다.

제주에도 화교들도 상당수 거주하고 있다.

그러기에 제주에 중국영사관 설치는 제주의 요구가 아니라 중국의 필요에 의한 것이다.

우리정부에서도 이 문제를 중국정부와 협의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