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감귤 減産해야 적정처리 가능
올해 산 감귤처리 전망이 예사롭지가 않다. 과잉생산 우려가 있는데도 농정 당국의 감산(減産)운동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타율적 감귤유통조절 시책인 감귤유통조절명령 요청서를 농림수산식품부에 제출하는 등 감귤유통조절과 관련 비상체제 가동이 불가피해졌다.
제주감귤의 원활한 처리와 적정가격 유지는 고품질 생산과 생산량 조절에 달려 있다. 60만톤 이하로 생산량을 조절하고 불량품을 시장에서 퇴출시켜 고품질 감귤을 유통시켜야 기대를 해볼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도 농정당국은 올해 초부터 감귤원 1/2간벌, 불량감귤 열매솎기 등 대대적 감귤 감산 시책을 펴오고 있다.
도는 올해 최고 73만여톤의 노지감귤이 생산될 것으로 보고 여기서 각종 감산 시책을 통해 15만톤을 감산할 수 있다고 했다. 사실상 15만톤은 농정당국이 자신하고 있는 감산 실적이나 다름없다.
그러나 최근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제주의 노지감귤생산 예상량을 64만톤으로 예측했다. 이 예측대로라면 도의 감산시책은 실패한 것이나 다름없다. 감산실적이 9만톤 정도이기 때문이다.
이는 농정당국의 실적 부풀리기나 한국경제연구원의 예상량 예측 실패 중 하나다. 어느 쪽의 실적이나 예측이 빗나갔든 올해 산 감귤 유통 조절은 지금부터가 문제다.
지금이라도 강력한 불량 감귤 열매솎기 등 감산 실천이나 유통처리 명령제 도입이 없으면 올해 산 감귤 처리는 난관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
감귤 감산 운동에 농민이 적극 동참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