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갈등부추기는 ‘제주대 총추위‘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제주대총장임용추천위원회(이하 총추위)가 계획하고 있는 ‘총장재선거 찬.반투표’는 ‘하수(下手)중의 하수’다.
총추위가 스스로의 결의를 뒤엎는 일이며 오히려 학내 갈등과 분열만 부채질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제주대 총추위는 지난 7월23일 전체회의를 열고 1순위 후보자가 제기한 행정소송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재선거를 실시하지 않기로 결의했었다.
그랬던 총추위가 ‘재선거 불가결의‘ 5일 만인 7월28일 교과부 관계자가 참석했던 총추위 회의에서 자신들의 결의를 번복하여 대학구성원 전원의 투표로 총장재선거 실시여부를 물어서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교과부의 회유와 압력에 총추위가 굴복했다는 비판이 이때부터 나왔다.
총추위의 이 같은 결의 번복에 제주대 교수 230여명으로 구성된 ‘제주대 자율권 수호 대책본부’는 당장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총추위 위원장의 독단으로 특정한 음모와 의도를 갖고 있는 세력에 부화뇌동하여 회의를 소집하여 교과부 관계자를 참석시켰고 총추위가 교과부의 지시에 따라 반민주적이고 파행적 회의를 진행한 결과“라고 규탄하고 있는 것이다.
총추위가 기존 선거결과를 무효화하지도 않았고 총추위가 앞장서 재선거를 하지 않겠다고 결의해 놓고도 또 다시 재선거를 거론하는 것은 자기모순이며 교과부의 지시에 따라 대학 자율권을 포기하는 무책임한 처사라는 것이다.
이 때문에 대학 파행을 잠재우고 대학의 안정화에 힘써야 할 총추위가 오히려 혼란만 부추기는 행보를 하고 있다는 대학 안팎의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따라서 재선거 찬반투표 실시 계획은 당장 그만둬야 할 것이다.
찬.반 투표를 해도 행정소송 판결 후에 하는 것이 순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