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항공시장 출혈 경쟁 우려
4개 사 경쟁 속 후발사 신규취항ㆍ운항 재개
안전성 우려 없애고 탄탄한 경영 구조 마련해야
2009-05-18 임성준
경기침체 속에 구조조정을 겪었던 저가 항공업계의 후발업체들이 최근 노선 확장과 신규 취항 등을 통해 시장 재진입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18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신설항공사 젯코리아가 오는 10월 말 취항을 목표로 운항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젯코리아는 항공사 설립을 위한 자본금 200억 원을 확충하기로 했으며 현재 조종사와 정비인력, 운송본부의 직원 등 경력직 위주로 채용에 나섰다.
아울러 젯코리아는 이번 주 중 유럽의 항공기 리스사와 항공기 도입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 부도로 운항을 중단했던 영남에어도 최근 회사명을 '퍼스트 항공'으로 변경하고, 오는 6월 제주~김포 노선 재취항을 준비하고 있다.
기존 영남에어 직원들이 임금 체불 등으로 강력 반발하며 소송을 진행 중이어서 재취항이 쉽지는 않지만 이 문제가 풀리면 저가 항공 시장 경쟁에 뛰어들 태세다.
하지만 새로운 수요창출 보다는 결국 기존 수요를 빼앗기 위한 출혈경쟁으로 저가항공 시장 전반에 걸쳐 수익성 악화가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제주항공과 진에어, 에어부산 등 대기업 계열 저가항공사들이 모기업 후광 효과를 이용해 저가 항공 3강 체제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1월 취항한 이스타항공의 초저가 마케팅이 반응을 보이며 틈새 시장을 공략하는 가운데 다음 달 초부터 김포~제주와 군산~제주 노선에 이어 청주~제주 노선 운항에 나서기로 했다.
제주항공이 가장 먼저 지난 3월 국제선에 취항한 가운데 나머지 세 항공사도 국제선 취항 요건을 갖추면서 속속 국제선을 도입할 예정이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당장 국제선에 취항할 수 있는 요건을 갖췄지만 면밀한 시장 분석을 거쳐 내년 초를 목표로 TF팀을 구성해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가항공사들이 잇따라 국제선에 눈을 돌리고 있는 건, 이미 포화상태인 국내선 시장보다 적절한 수익구조가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승객들이 여전히 안전성에 우려를 제기하고 있고, 저가항공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면 출혈 경쟁과 함께 적자와 운항중단, 부도가 되풀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