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원교육학원 정상화 ‘첩첩산중’
정이사체제 전환 지연 속 '부실 사립대' 퇴출 문제 불거져
신하 대학 학생 충원률 낮아 교과부 구조조정 대상 전망
2009-05-08 한경훈
교육과학기술부는 독자 생존이 불가능한 ‘부실 사립대’ 퇴출 작업에 착수했다. 7일 변호사와 공인회계사, 사학 관계자 등 14명으로 구성된 대학선진화위원회를 출범, 부실 사립대의 구조조정 작업을 본격화했다.
합병과 폐교 등 구조조정 대상은 최근 신입생 충원률 저조 등 독자 생존이 어려운 지방 사립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신입생 충원률을 기준으로 하면 도내에선 산업정보대학과 탐라대학이 그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탐라대의 경우 올해 모집정원 266명 중 140여명이 입학해 충원율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55%대에 그치는 실정이다.
교과부는 부실 사립대에 대해 재정 지원을 줄이는 방식 등을 통해 통폐합을 유도할 방침이다.
이럴 경우 제주에선 산업정보대학과 탐라대학의 통합 쪽으로 가닥이 잡힐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김동권 전 이사장의 산업정보대 교비자금 불법사용으로 촉발된 동원학원 사태가 해결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양 대학의 무리한 통합은 자칫 대학 구성원 간 큰 마찰을 빚을 수 있다.
현 임시이사회는 김 전 이사장이 횡령한 교비에 대한 개인 보전이 이뤄져야 양 대학 통합을 통한 대학 정상화를 모색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일부에서는 “김 전 이사장의 교비 보전이 이미 완료됐다”며 김 전 이사장 복귀와 양 대학 통합을 전제로 한 학원 정상화를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 산업정보대 한 관계자는 “교과부 산하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최근 동원학원 임시이사회가 제출한 ‘정상화 추진계획’을 상정하고 심의에 들어갔다”고 소개한 뒤 “원칙과 정의에 입각해 정이사 체제로 전환하고 이후 양 대학 통합으로 발전 방향을 모색했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