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직항노선 인센티브' 기대 반 우려 반
해외여행수요 창출 못하면 '반짝 운항' 그칠 수도
2009-03-23 임성준
제주도는 기존 정기노선을 증편하거나 신규항로를 개설할 경우 편당 최고 500만 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만 최대항공사인 중화항공이 가오슝에서 대만관광객 150여명을 태우고 23일 오전 제주에 첫 취항했다.
중화항공은 올해 9월까지 정기성 전세기 형태로 23일부터는 닷새에 1편, 26일부터는 주 2편 (목.일)의 각각 별도 스케줄로 운항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지난 1월 중국의 항저우 노선에 동방항공 전세기가 주 2회 운항을 시작했다.
중국 다롄 노선에는 남방항공 전세기가 주 2회, 광저우 노선에는 동방항공 전세기가 주 3편 운항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해 5월 제주~타이베이와 가오슝 노선을 운항했던 대만 원동항공의 부도로 대만 관광객 유치에 차질을 빚었지만 올해 외국 직항노선 활성화로 연간 17만여 석이 추가 제공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전망에 반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들 항공편은 모두 현지 여행사에서 모객한 관광객을 싣고 제주에 온 뒤 그대로 다시 태워서 출국하는 전세기다.
그 동안 제주직항 노선에 취항했던 외국 국적항공사들이 제주 아웃바운드 수요가 없어 제주 직항노선을 줄줄이 포기한 전례가 있어 도내 관광업계는 또 다시 취항과 운항 중단이 되풀이되지 않을 까 우려하고 있다.
실제 필리핀항공은 지난해 3~4월 주2회 제주 정기편을 운항했으나 탑승률이 50~60%선으로 저조하자 결국 같은해 5월 운항을 중단했다.
제주를 기반으로 하는 제주항공도 20일 저비용항공사 중 처음으로 국제선 정기편을 취항했지만 제주~일본 직항노선을 포기하고 인천~오사카, 인천~키타큐슈에 동시 취항했다.
부흥항공도 주 7회에서 3회로 감편 운항하고 있고 남방항공도 취항과 운휴를 반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항공업계 관계자는 "해외 여행수요가 억눌리고 있어 항공사들이 신규취항이나 증편보다는 기존 노선의 기반강화와 감편 노선 회복에 더 무게중심을 두고 있는 추세"라며 "국제 직항노선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내 여행수요 창출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