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접근성 관건
교육ㆍ의료 등 정주환경 보완 필요
도ㆍ한은제주본부, 향후 전략 논의
지식기반 산업도시인 스마트시티 유치를 위해서는 신공항 건설을 통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교육, 의료 등의 정주환경을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제주도와 한국은행 제주본부는 최근 제주지식산업진흥원에서 ‘제주경제포럼’정기회의를 개최, 스마트시티 제주(SmartCity@Jeju) 현황과 향후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제주지식산업진흥원의 김인환 원장은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단순히 IT관련 세계적 기업의 투자 유치 사업이 아니라 의료, 휴양, 교육단지 조성사업 등 국제자유도시개발사업과 연계해 추진되어야 할 현안 과제”라며 “중앙정부의 광역종합계획과 연계해 추진하되 공항확충, 도 면세화, 주파수 특구 등 국제자유도시에 걸 맞는 제도 정비에 역점을 두고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제주도는 지역특성상 모바일 방송 신기술 테스트베드로서 최적의 여건을 갖추고 있으므로 이 점을 적극 홍보하면 관련 국내외 기업을 유치할 가능성이 높다”며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제주도가 글로벌 ICT허브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주대 정수연 교수는 “지식기반 산업도시인 스마트시티를 유치할 경우 고용증대 등과 같은 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러한 지식기반산업 유치에 대한 중앙정부의 전향적 지원을 이끌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진행상황을 제시하는 등 적극적 대응이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특히 “스마트시티를 유치하고 이를 지속시키기 위한 선결과제는 신공항 건설을 통한 접근성이며 이와 함께 컨벤션센터의 전시동 확충 등과 같은 사회간접자본(SOC)에 대한 투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이어 “제주는 바다에 인접하고 관광 집적지로서 스마트시티와 같은 지식기반산업의 최적지이지만 교육, 의료 등의 정주환경이 열악,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하운 한국은행 제주본부장은 “최근 제주지역 경제는 취업자가 감소하는 등 어려운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에 대해 투자유치 및 일자리 늘리기가 가장 효과적인 방안일 것”이라며 “따라서 스마트시티 사업은 지역경제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제주도에서도 이를 적극 수용하고 공조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두바이 정부투자기관인 ‘두바이 홀딩스(Dubai Holdings)’의 정보통신(IT)·미디어·통신 분야 담당 자회사인 ‘테콤(TECOM)’ 등이 투자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사업으로 두바이인터넷시티와 미디어시티 등을 모델로 첨단 IT, 미디어 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한 클러스터조성 프로젝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