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서민상권 살릴 대안 없는가

2009-02-12     제주타임스

 

 점점 악화 일로에 있는 제주지역의 중소상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1일 도의회 미래전략산업연구회에서 개최했던 ‘서민경제 회생을 위한 경제 대 토론회’에서도 각종 대안이 제시됐다.
 
우선 주제발표자나 토론자 모두가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했다.

 당국의 정책에 비판적인 그룹까지 망라한 광범위한 민관합동의 태스크포스를 구성하자는 제안도 있었다.

 이와 함께 재래시장과 골목상권, 중소점포 등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대단위 물류센터 건립과 이를 위한 전용컨테이너 부두의 건설 필요성도 강조 됐다.

 섬이라는 제주의 특성상 도민 부담 물류비용이 20%선에 달해 이를 줄이기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제주의 인구나 경제규모, 상권 환경 등을 감안하여 대 기업형 슈퍼마킷이 제주에 진출하면 광범위한 지역상권 위축 및 공동화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 대안마련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현재 진출한 대기업 매장수를 더 늘리거나 면적을 확장하지 말고 현재 수준에서 지역상권과의 상생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대형마트의 품목규제 등을 통한 재래시장ㆍ골목상권ㆍ중소점포 등의 경쟁력 확대와 함께 이들 상권의 자구적 업태변신 노력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역경제 회생을 위해서는 밑바닥 서민 상권이 살아나야 가능하다.

대기업의 상권 독식은 제주를 지탱해온 밑바닥 경제 바탕을 붕괴시킬 뿐이다.

 대기업 대형 매장 업주와 도매 서민상권 대표자, 행정이 함께 머리를 맞대 상생의 길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