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濟大 신임 총장이 먼저 해야 할 일
1
어제 실시된 제주대학교 제8대 총장 임용후보자 선거는 역대 어느 선거보다도 잡음이 많고, 시끄럽고, 그래서 부끄럽기까지 한 선거였다.
현직 총장을 포함, 5명의 후보가 나선 이번 선거는 이른바 상아탑으로 불리는 지성의 전당에서의 선거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창피한 것이었다.
현실은 뜻과 같지 않지만, 국가적 정치 선거나 지방의 자치선거 모두가 축제를 지향하고 있는 것은 희망차고 즐겁고 기분 좋은 민주주의, 민의(民意) 존중주의를 실현코자 하는 노력의 일환에 다름 아니다.
하물며 대학 총장선거야말로 그 어느 정치선거나 자치선거보다도 최고 지성인 집단의 선거답게 축제 속에 치러져야 했다.
그래야 ‘혼탁’-‘이전투구’ 등의 표현으로 대표되는 타락한 정치선거나 자치선거와 차별 되고 본보기가 될 줄 안다.
또 그래야 대학 총장 선거가 정치계와 일반 사회에 보내는 훌륭한 메시지가 될게 아닌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대학의 제8대 총장 임용후보 선거는 도민들이 질타하듯 이전투구식 정치 선거보다 더하면 더했지 결코 덜하지 않았다는 게 관전평들이다.
2
사실 제주대학에는 그동안 도민들에게 궁금증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일들이 잠재해 있었던 게 현실이었다.
90억 공사 수의계약, 교직원 복지 아파트 건립 및 운영계획, 현직 총장의 표절 시비, 특정 금융기관에 대한 제주대학 금고의 장기간 관리권 부여 등 민감한 사항들이 거기에 포함돼 있다.
특히 이들 사안에 대한 문제가, ‘표절시비’를 제외하면 모두 개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제주대학 공식 기구인 교수회에서 제기되었다는 점에서 대학 외의 일반 사회에서까지 주목을 받게 된 이유다.
대학 교수회는 두 차례에 걸쳐 국제 언어-문화교육 센터의 90억 공사 수의계약 문제와 213억 짜리 교직원 복지아파트 건립 및 30년간 관리운영권 등에 대해 해명을 요구하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사직 당국에 고발 조치나 수사의뢰의 가능성마저 언급했다.
심지어 한 교수에 의해 제기된 표절시비는 검찰로까지 비화돼 현재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져 결과에 따라서는 큰 파장이 예상되고 있다.
3
이렇듯 민감한 학내(學內) 문제들이 공식 기구인 교수회-대학본부-동료 교수와의 사이에 얽히고 섥히면서 제주대학은 갈등과 분열의 소용돌이에 빠지는 느낌이다.
더구나 이러한 문제들이 하필이면 총장선거를 앞둔 예민한 시기에 돌출돼 선거가 끝나더라도 좀처럼 시비가 가라앉을 것 같지가 않다.
자칫 일이 어그러지면 문제가 일파만파로 번져 수사 의뢰-고발 등으로까지 확산 돼 걷잡을 수 없는 상태로까지 이어질까 걱정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사직 당국의 수사를 통해서든, 대학 내의 특별 기구를 만들어서든, 제기된 문제들은 한 점 의혹 없이 밝히고 넘어가야 한다는 점이다.
이것이 대학의 최고 지성다운 처세다.
가능하면 학내(學內)뿐 아니라 모든 도민들의 궁금증을 풀기 위해서는 교수회가 시사 하듯 사직 당국의 수사에 의하는 것이 뒷말이 없을 것 같다.
그렇게 함으로써 향후 대학 구성원들 간의 진정한 화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
그런 의미에서 어제 선거에 의해 선출된 1-2 순위 제8대 총장 임용 후보 중 정부의 임명을 받은 새 총장은 우선 사분오열(四分五裂)된 제주대학을 통합시키는 데 모든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
만약 이 일에 실패한다면 나머지 대학 행정. 대학 학사(學事), 대학 연구 사업 등을 전개해 나가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
두 총장 임용 후보 중 누가 총장으로 임명되든 가장 시급히, 그리고 가장 먼저 교수와 교직원간 화합시키는 일에 온힘을 쏟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