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총장선거 ‘의혹 전선’ 확대

‘제주대 수의계약ㆍ논문 표절 의혹 논란’ 도민사회로 확산

2009-01-09     제주타임스

1

 오는 21일 실시하는 제주대학교 제8대 총장선거와 관련해 대학사회에서 각종 의혹이 제기되는 등 ‘혼탁양상’의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대학 내 구성원 간 ‘의혹 공방’이나 후보 간 ‘논문 표절 시비’는 도민사회에서도 논란의 불씨가 되고 있다.

 먼저 제주대학교수회가 대학본부 측에 공개질의 했던 ‘90억공사의 수의계약 체결’ 등 5개항의 의혹이나 해명촉구는 (재)제주대학교발전기금(경영사업단) 측의 “국제언어ㆍ문화센터 건립과 관련, 한 점의 비리가 없다“는 내용을 뼈대로 한 '교수회 공개질의에 대한 답변'에도 불구하고 논란의 전선은 되레 도민사회로 확대되는 양상이다.

 "90억원 이상의 공사를 수의계약 하면서 가뜩이나 어려운 사정에 처해 있는 도내 건설업체와는 수의계약을 할 수는 없었는가"하는 의문이 도내 건설업계와 도민사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정도의 공사는 도내 건설업계에서도 얼마든지 감당할 수 있고 대학 측의 수의계약 의지가 확고했다면 이를 도내 건설업체에 맡길 수도 있는 것이 아니냐”는 아쉬움에서 나오는 이야기다.  

 ‘90억 수의계약’이 비록 법적하자가 없다는 대학 측의 주장을 이해한다고 하더라도 제주지역 거점대학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주지역건설업체를 배제하고 타지 특정업체와 수의계약을 체결한 것에 대해 도민사회 일각의 생각은 섭섭함이다.

2

 그런데 문제는 대학 내 교수집단인 ‘제주대 교수회’가 제기한 관련 의혹이나 의문에 대한 해명 요청을 관련 당사자측이 “현재 총장의 재선을 방해하려는 불순한 저의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을 떨칠 수가 없다”고 총장선거 작전으로 보고 있다는 데 있다.

 대학 운영과 관련한 의문이나 의혹제기는 대학 구성원이라면 누구나, 언제라도 할 수 있는 일이다.

 개인이든 집단이든 대학을 사랑하고 대학발전을 위한 충정에서라면 더욱 그렇다.

 그리고 의혹을 받는 쪽이 당당하다면 떳떳이 사실을 밝히면 될 일이다.

그래서 대학 측이 공개질의에 대한 답변을 했던 것이 아니던가.

 그런데 사실관계를 적시해 의문이나 의혹을 제기하고 이에 대해 해명해 달라는 ‘교수집단의 요구’를 정치적 시각으로 접근하려는 것은 아무리 느슨한 잣대를 적용하더라도 ‘의도의 순수성’에 대한 의심을 지울 수가 없을 것이다.

 총장선거 작전세력의 '터무니없는 의혹제기'를 말하면서 오히려 이 문제를 '총장선거 작전'으로 역이용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일반의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는 바로 총장선거 과정의 혼탁상을 부를 수도 있을 것이기에 경계해야 할 것이다.

3

 아니나 다를까 제주대 총장선거와 관련 후보자간 논문표절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총장출마 A후보자는 학내 전자문서 게시판을 통해 “B후보가 2개의 논문을 작성하면서 제목만 다를 뿐 같은 내용으로 두 곳에 제출하고 2중 연구비를 수령했고 여러 편의 논문을 표절 짜깁기 하여 연구실적을 부풀렸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B후보 측은 “연구비를 2중으로 받았다는 2편의 논문은 모두 공동연구로 먼저 발표논문의 내용을 보강하고 발전시킨 것‘으로 단 한편도 남의 논문을 베낀 적이 없다”고 반박하고 있다.

교수사회의 논문 표절은 의혹을 받는 쪽에서는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논문 표절 시비와 관련해서는 총장 선거 이전에 명쾌하게 진위가 드러나야 할 것이다.

이는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라 대학의 명예와도 직결되는 것이어서 그렇다.

 만에 하나 표절이나 베끼기가 사실로 들어난다면 당사자는 스스로 진퇴를 결정해야 옳다.

사실이 아니라면 의혹을 제기한 쪽이 더 큰 책임을 져야 한다.

 논문표절 의혹과 ‘90억 수의계약 문제’ 진실규명이나 사실 확인은 대학총장 선거 혼탁을 막는 촉매가 될 수도 있다.

객관적 진실규명을 위한 작업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