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감귤 제값받기 농민 손에 달려

비규격 비상품 출하하지 않아야 원활한 처리 가능

2008-10-13     제주타임스

1

제주도가 감귤무단 방출에 초강력 대응을 하고 있다.

노지감귤 출하초기에 유통질서를 제대로 잡지 못하면 올해 산 감귤처리가 대 혼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올해 산 제주감귤 유통혼란 우려는 감귤 생산량과 이에 근거한 감귤유통조절 명령제 발령 중단에 원인이 있다.

올해 노지 온주 생산량은 지난해 보다 24%나 감소한 51만3000톤 수준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농촌 경제연구원의 예측 치다.

이에 따르면 올해 산 감귤의 당도 역시 지난해 보다 높을 것이라고 한다.

생산량이 적고 당도가 높다는 것은 생산농민이나 중간상인들 입장에서는 “올해 산 감귤은 없어서 못 팔 것”이라는 인식을 갖기에 충분하다.

 수요에 비해 공급량이 부족하다는 생각에서 나온 것이다.

그렇다면 농민들이나 중간상인들은 감귤 품질에 관계없이 질 낮은 감귤 한 알이라도 모두 상품으로 내다 팔려고 할 것이다.

불량감귤이 소비 시장을 교란시킬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올해 산 유통혼란 우려는 여기서 나온다.

2

다음은 생산량이 감소하여 정상적인 가격유지와 원활한 처리가 예상되면서 지금까지 발령돼 왔던 감귤유통조절명령제가 올해는 발령되지 않는다는데 있다.

유통조절 명령제가 발령되지 않았다는 것은 그만큼 올해 산 감귤에 강제적 유통조절을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강력한 유통조절 장치가 없어져 버린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 온갖 수단이 동원된 질 낮은 불량감귤이 마구잡이로 소비시장을 교란시킬 공산이 크다.

출하초기부터 이를 잡지 못하면  감귤의 좋은 값은 기대할 수가 없을 것이다.

여기에다 소비자들로부터 외면을 받는다면 원활한 처리에도 걸림돌이 될 것이다.

그 어느 때보다도 높은 가격과 원활한 처리가 기대됐던 제주감귤은 최악의 상태에 직면할 지도 모른다.

그러기에 제주도 등 관련 당국이 출하초기부터 유통질서 확립에 강경대응을 하고 있는 것이다.

올해 산 감귤 첫 출하일을 앞당겨 출하하려던 7개 선과장의 품질 검사원 13명을 해촉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하겠다.

3

선과장에 품질검사원을 위촉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실상의 선과장의 폐쇄나 다름없는 강경조치다.

이들 선과장에서 품질 검사를 하지 않는 감귤을 반출할 경우 반출 때마다 과태료가 부과 된다.

그래도 이를 무시하고 무단반출을 시도 할 경우 ‘질서위반행위 규제법’ 등에 따라 감치의뢰 등  강력한 조치들이 뒤따른다는 것이다.

도는 이와 함께 인터넷 등을 통한 불량과일 불법 유통을 차단하기 위한 인터넷 감귤불법유통전담반을 가동키로 했다.

이 같은 전방위 불량감귤 유통차단노력이 어떤 성과를 거둘지는 두고 볼 일이다.

다만 이의 성공을 위해서는 농민의 협조와 자각이 절대 필요하다. 농민들 스스로 비상품 귤을 가려내고 이을 출하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불량귤을 한 알도 출하하지 않으려는 농민들의 실천의지만 있으면 올해 산 제주감귤은 높은 값의 호황을 누릴 것이다.

불량귤을 섞어 한 해 감귤농사를 망칠지, 고품질로 좋은 값을 받을지의 선택은 농민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