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비상품 감귤 원천 봉쇄해야

항만 단속ㆍ인터넷 유통질서 확립도 시급하다

2008-10-12     제주타임스

1

올해 제주산 노지 감귤은 51만2000t 안팎의 생산에 그칠 전망이다. 지난 해 보다 24%나 감소한 양이다.

생산량 조절의 결과가 아니라, 해거리 등의 원인이어서 아쉬움이 남는다.

 더구나 제주시에 비해 서귀포시권의 작황이 더 부진한 것으로 알려져 해당 농가들의 안타까움은 더 클 것으로 생각된다.

하긴, 적정 생산량에 대한 견해는 일치하지 않는다. 대체로 55만t 내외로 보고 있긴 하나, 생산농가와 전문가에 따라 의견은 다소 다르다.

그러나 과거의 경험에서 보듯 감산은 오히려 호재가 될 수 있다.

 과잉생산일 때는 가격 폭락과 함께 처리난으로 이중고를 겪어야 했지만, 감산일 때는 대체로 높은 소득이 유지됐었다.

특히 올해 산 감귤의 당도는 보통 11브릭스로, 작년 산의 10브릭스 내외보다 다소 높아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물론 대과(큰 과일)가 많이 생산된 것이 문제이긴 하나, 당도가 높아졌다니 그나마 다행이다.

아마도 계획된 적정 생산의 결과였다면, 비상품인 대과의 양은 줄고 상품성 감귤이 더 많이 생산될 수 있었을 것이다.

2

오는 15일부터 노지감귤이 본격 출하된다.

올해 산 감귤 소득 역시 출하대책에 달렸다.

한 마디로, 감귤 처리에 왕도는 없다.

오직 비상품 감귤을 내보내지 말고, 상품감귤을 홍수 출하하지 않는 것 뿐이다.

생산농가의 입장에서는 비상품 감귤이라도 출하해 저조한 작황을 만회해 보려는 생각도 들 것이다.

하지만, 그럴 경우 상품감귤 가격까지 떨어뜨리는 결과로 이어질 것은 보나마나다.

제주도와 농협, 자지경찰, 운송업체 등이 비상품 감귤의 반출을 차단하기 위해 항만 단속 강화에 나선다고 한다.

 제주항, 서귀항, 성산항, 한림항에 합동단속반을 상주시켜 감귤 수송 컨테이너를 개봉한 뒤 비상품 감귤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택배 차량에 대한 비상품 감귤 유통 행위에 대해서도 집중 단속에 들어간다고 한다.

감귤 선과장과 항만 및 택배 차량에 의한 비상품 감귤 유통 행위만 차단된다면, 비록 생산량은 생각보다 줄었으나, 당도가 좋아진 올해 산 감귤 가격의 보장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같다.

3

역시 문제는 제주도의 이러한 대책이 일관성있게 추진되겠는냐는 점이다. 처음에만 하는 척하다가 나중에 흐지부지하는 단속일 경우 비상품 감귤의 항만 원천 봉쇄는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가 하면 모든 감귤 컨테이너를 개봉해 비상품 감귤 적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단속반을 늘릴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제주도는 지금의 4개 합동단속반 18명을 적어도 8개 반에 40~50명으로 더 늘려 보다 원활한 단속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인터넷을 이용한 비상품 감귤 유통 역시 제주감귤의 이미지를 흐리게 하고, 상품감귤의 시장 가격 형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하는 요인이다 .

인터넷 감귤도 반드시 상품만 보내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그 반출 물량이 확대될 경우 항만을 통한 불량 감귤 반출에 못지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생산자와 상인들의 자발적인 노력이다.

스스로 반드시 상품감귤만 내보내는 양심을 지녀야 한다.

하지만 생산농가, 중간 상인 모두 양심 하나로 제주산 감귤을 지키겠다는 의지가 확립될 때까지 제주도의 불량 감귤 유통행위에 대한 단속은 계속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