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ㆍ3평화재단 官주도 출범 후유증

관련 단체, "유감…우려…죄송" "추진 중단하라"

2008-09-23     임성준
제주4.3평화재단 초대 이사장에 제주도 행정부지사가 선임되면서 관 주도 재단 출범이란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4.3 관련 단체들이 재단 불참 선언과 함께 유감과 우려를 표명하고 유족과 도민들에게 사과했다.

일부 단체는 재단 출범 중단을 촉구하고 집행부 사퇴를 주장했다.

제주4.3도민연대와 민예총 제주지회, 제주4.3연구소, 4.3범국민위는 이날 공동성명을 통해 "4.3영령과 유족, 제주도민 모두에게 죄송한 마음 금할 길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4.3단체들은 "이명박 정부 들어 4.3위원회의 통폐합 시도로 시작된 반역사적 행태는 최근 국방부의 교과서 개정 요구에 이르기까지 4.3의 진상을 왜곡하고, 역사를 거꾸로 되돌리려는 의도를 숨기지 않고 있다"면서 "이런 엄중한 상황에서 관 주도의 재단이 4.3문제의 해결에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사장 선출 문제가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올해 예산 집행과 내년도 예산편성 문제로 재단 출범이 시급한 나머지 이런 결정이 불가피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정작, 파행의 중심은 제주도였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관 주도의 재단 출범에 참여하지 않는 것 이외에 다른 방법이 없었다"며 "이제 초심으로 돌아가 4.3정신을 오롯이 살려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며, 아울러 법적 기구로 탄생한 재단의 향후 활동도 예의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전공노와 민주노동당제주도당 등으로 구성된 제주4.3민중항쟁 60주년 정신계승을 위한 공동행동은 성명을 내고 "졸속적인 재단 출범을 즉각 중단하고 범도민 기구 형식을 통해 민주성과 투명성의 원칙을 토대로 재논의를 진행해야 한다"며 "재단 설립 발기인들과 이를 통해 선출된 이사, 감사들도 스스로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