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송객수수료 이제 그만"

도, 적정요율 설정ㆍ양성화 추진…협회, 의식개혁운동
여행업계 설문, 상당수 "개선 필요없다"…공감대 시급

2008-09-05     임성준
제주도가 고비용 거품 관광을 해소하기 위해 일부 관광업계에서 음성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과도한 송객수수료를 적정수준으로 낮추고 양성화해 제도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여행업계 상당수는 개선할 필요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어 공감대 형성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5일 제주도와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송객수수료 개선을 위해 제주관광상거래 개선추진협의회 상설화를 통해 업종별 사업자와 관광종사원 공감대와 동참 분위기를 조성하고 적정 송객수수료율을 설정해 양성화 방안과 업종별 준수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송객수수료 실태와 개선사례를 조사해 관광3법 일괄 이양에 따른 후속조치에 송객수수료 개선과 양성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제주도관광협회가 지난 6월 18~7월 2일 도내 여행사와 국내여행안내사, 전세버스기사 284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0.8%가 '현재의 송객수수료가 적정해 개선할 필요가 없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15.9%는 오히려 부족하다며 수수료를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수수료가 과도해 줄여야 한다'는 응답은 22.2%로 조사됐다.

송객수수료 중 여행사 몫을 제외한 안내사(기사 포함)에게 가장 적정한 송객수수료율은 20%라는 응답이 43.1%로 가장 많았고 10%(응답의 19.5%), 15%(14.2%), 30% 이상(10.5%) 순으로 나타났다.

과다한 송객수수료의 원인으로는 응답자의 49.8%가 '업체간 과당경쟁'으로 꼽았고, 23.6%는 '적정한 안내료 미지급', 21.9%는 '관광객이 저가상품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해결방안으론 '업체간 과당경쟁 자제'와 '적정한 안내료 지급'이 각각 45.5%와 40.8%로 대등하게 나타났다.

수수료 인하를 위한 적합한 추진 방법으로는 응답자의 60.1%가 업체간 자율합의에 의해 추진돼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행정당국의 조정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은 24.1%에 그쳤다.

송객수수료 인하를 위해 서로 양보하는 방안에는 응답자의 40.1%가 '동참분위기가 조성되면 동참하겠다'고 밝혔으며, 38.7%는 '적극 동참하겠다'고 응답했다.

응답자들은 고비용 거품이 끼어 있는 업종으로는 항공료(29%), 관광호텔(21.6%), 관광농원(17.1%)을 꼽았다.

설문조사에서 여행업계는 송객수수료가 적정하다고 인식하면서도 고비용 관광체질 개선을 위해선 양보하겠다는 데는 공감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난 2~4일 전남 화순에서 열린 도내 관광업계 워크숍에서도 송객수수료 문제가 업종 간 이해관계가 맞물려 뜨거운 감자가 됐다.

관광지나 숙박, 렌터카업계에선 과도한 송객수수료가 소비자 요금으로 이어져 제주관광이 비싸다는 불만을 사고 있다고 주장한 반면, 여행업계에선 관광지 등의 과당경쟁으로 오히려 수수료를 줄테니 손님을 보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반론을 폈다.

하지만 적정 수준을 정하고 양성화하는 방안에 대해선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관광협회는 보고 있다.

김희현 제주도관광협회 상근부회장은 "업종 간 이해관계 때문에 조율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음성적인 송객수수료를 양성화 해 제도화하기 위해선 행정이 손을 대기 전에 업계 스스로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