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 느끼는 ‘치안 불안’

2004-09-23     제주타임스

제주시민 40%가 치안에 불안을 느끼고 있다면 우리의 ‘체감치안’에는 분명 문제가 있다. 제주시가 최근 ‘지속가능성 발전지표 개발사업’을 벌이면서 시민 1061명에게 치안 상태에 대해 물어본 결과 40%의 시민이 ‘치안이 불안하다’고 대답했다. 그만큼 ‘생활치안’에 대해 시민들이 불안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개인과 가정의 안전이 범죄인의 마음먹기에 달려 있는 사회, 그리고 그런 치안상태밖에 유지하지 못하는 사회는 분명 잘못된 사회다. 우리가 한심한 윤리의식을 안타까워하는 이상으로, 치안상태를 따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일반시민이 평범한 삶을 누리는데 불안을 느끼게 하지 않는 것이 바로 ‘생활치안’의 본령이다. 쉽게 말해서, 두 다리를 쭉 뻗고 잠 잘 수 있게 하고, 밤길을 맘놓고 다닐 수 있도록 지켜 주는 게 바로 그것이다.

범죄가 발생되고, 그리하여 신속히 범인을 잡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민들 입장에서는 범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예방치안’에 더 큰 비중을 둘 수밖에 없다. 급박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치안을 담당한 경찰이 빨리 와 주기를 바라면서도, 급박한 일이 생기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 더 크다는 것이다.

그러나 말은 쉽지만, 그것이 그렇게 쉬운 일만은 아니다. 언제 어디서 어떤 범죄가 발생할 것인지를 총체적으로 감당하기란 차라리 불가능하다. 게다가 우리 고장만 하더라도 폭발적인 치안 수요가 가중되고 있다.

그러나 그것으로 ‘예방치안’을 감당해야 할 경찰이 책임이 반감되는 것은 아니다. ‘예방치안’은 주민 곁에 경찰이 가까이 있음으로써 가능하다. 급박한 문제가 있을 때 경찰이 빨리 와 주면 되고, 그것을 주민이 확인할 수 있을 때 치안에 대한 신뢰의 폭은 확대된다.
‘생활치안’은 우리 모두가 현실적으로 느낌으로써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