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환경교육 시범도의 전제조건

2008-07-11     제주타임스

환경부와 제주도, 그리고 제주도교육청이 10일 “제주도를 지속가능한 환경시범도로 조성한다”는 내용의 협약식을 가졌다.

이를 위해 환경부와 제주도, 제주도 교육청이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제주도가 세계자연문화 유산으로 등재 되는 등 제주의 자연환경 보전과 보호문제가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한 의제로 등장한 시점에서 제주를 환경교육 시범도로 조성하겠다는 협약은 뒤늦은 감은 있으나 반가운 일이다.

사실 그동안 제주사람들은 빼어난 자연환경 속에 살면서도 제주자연의 아름다운 가치나 고마움을 모르고 지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제주도 등 관련 당국도 제주자연환경에 대한 인식은 이와 다르지 않았다.

입으로는 청정환경 지킴이, 친환경 개발 등을 운운하면서도 실제로는 자연환경을 훼손하거나 파괴하는 등의 반환경 개발정책을 펴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정부와 제주도 간 ‘환경시범도 조성 협약’은 지금까지 제주도와 제주도민의 환경인식을 변화시키는 계기로 작용되어야 할 것이다.

협약내용을 보면 2012년까지 전 도민 30%이상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도 전역을 생태체험 교육장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돼 있다.

또 초ㆍ중등학교에서는 일정시간 이상의 환경교육을 의무화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도민이나 학생대상의 환경교육은 교육대상 인원이 많고 적음에 성패가 달린 것은 아니다.

교육의 내용과 질과 지속성의 문제다.

이론보다는 실질적 체험학습이 교육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분야다.

그렇기 때문에 생태 체험장 조성과 운영은 바로 제주환경교육 시범도의 성패를 좌우할 것임에 틀림없다.

생태 체험장 조성과 생태 전문교육 인력 양성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뜻이다. 참고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