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저신용등급자 비중 높아
전체 신용등급평가 대상자의 13%…전국 시ㆍ도 중 ‘3위’
금융기관 대출 불가능…사회통합ㆍ성장잠재력에 악영향
도내 금융 저신용등급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은행 제주본부의 ‘제주지역 금융소외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도내 저신용등급자는 3월 말 현재 3만1000명으로 전체 신용등급 평가 대상자의 13.3%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비중은 전국 16개 시ㆍ도 중 전남(15.5%), 강원(13.6%)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며 전국평균(10.7%)을 웃도는 수치다.
저신용등급자는 개인신용평가회사의 신용등급(10등급) 중 8등급 이하인 사람으로 제도권 금융기관으로부터의 대출이 사실상 불가능한 금융소외자이다.
지역에 금융소외자가 많을수록 사회통합에 악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성장잠재력에도 부정적 영향이 나타난다.
저신용등급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30~40대가 61%를 차지했다. 신용등급 대상자 중 30ㆍ40대의 비중은 8.5%로 전국평균(6.1%)보다 높았다.
도내 평균 신용등급(5.0) 역시 전국평균(4.7)보다 낮아 전남(5.2), 강원(5.1), 충남(5.0) 등과 함께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상호저축은행 등 서민금융기관은 이용이 가능하나 은행 이용은 제한되는 신용등급이 7인 사람도 3만명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체 신용등급 평가 대상자의 12.9% 수준이다.
이와 함께 도내 개인파산제도 이용자 수도 2002년 이후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파산신청 증가율(147.7%)은 전국평균(24.5%)을 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신청자 수는 1637명으로 2001~2006년까지 신청자(1021명)을 초과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 관계자는 “제주지역의 금융소외자가 다른 지역보다 많다는 것은 경제성장 등을 위한 여건이 그 만큼 취약함을 의미한다”며 “금융소외자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대안금융제도를 도입하고 금융소외 예방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한편 금융기관들도 경제적 자활능력이 있는 금융소외자들에 대해서는 지역특성을 고려한 금융서비스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