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재연구소 설립, 효율적 방재구현"
전병호씨, 제주특성 맞는 연구수행 및 대책수립 필요
'재해 없는 안전제주' 건설전략 정책포럼서 제기해
지구온난화 따른 해수면 상승대비 연안개발 이뤄져야
태풍이 동반하는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 등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방재연구소를 설립하고 제주실정에 맞는 ‘수해방지대책 세부실천계획’을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재 소방장재청과 국립방재연구소에서 연구와 대책수립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대부분 육지부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대책 수립으로 한정돼 있다는 것이다.
전병호 전 한국수자원학회 회장은 28일 제주도의회가 제주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마련한 ‘재해 없는 안전제주’건설전략과 도의회의 역할 정책포럼에서 “효율적인 방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문가 집단에 의한 지속적인 조사 확인과 분석 검토 및 대책 수립과 추진 등의 과정이 필요하다”며 방재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소 설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제주도는 타 지역 재해재난의 문제와 대책이 비슷한 것처럼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달리 취급해야 하는 성격의 문제들이 존재한다”면서 “제주만의 문제를 제주식으로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수행과 대책수립 그리고 실무에서의 적용과 추진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가칭 방재연구소를 신설해 ▲방재를 위해 제주가 수행해야할 업무 정리 ▲해결 방안 모색 ▲예산문제 해결 ▲합리적이고 타당성 있는 결정 유도 등의 업무를 담당하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수해백서의 발간 ▲재해영향평가의 내실화 ▲재해저감을 위한 방재예산 확보 ▲국민안전의식 제고 및 자율적 책임분담을 위한 정책 추진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맹준호 한국환경정책평가원 연구위원은 ‘지구 온난화에 따른 환경변화와 대응과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기후변화협약 범정부대책기구와는 별도의 제주도 자체의 기후변화 대응마련을 위한 시스템을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온난화의 영향으로 2100년까지 기온이 최대 6.4도 상승하고 해수면은 59cm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면서 “해수면 상승에 대한 각 시나리오별 취약지역 조사 및 연안역 재해지도를 작성하고 해안개발을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불가피하게 해안을 개발할 경우와 친수공간을 조성할 경우에는 해수면상승 및 해안침식을 고려해 개발 및 토지이용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