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생 '집단 유급' 불가피
유급방지위해 24일 재개된 강의에 대부분 학생 불참
비대위, '대토론회' 개최 조건 내걸며 계속해 수업 거부
2007-12-25 임창준
제주교대 측은 지난 10월 22일 학생들이 수업거부를 시작한 이후 학사일정을 계속 연기해 오다 지난 20일 총장 명의의 성명서에서 밝힌 대로 학생들의 유급을 막기 위해 24일 오전 9시부터 당초 예정됐던 2학기 월요일 강의를 모두 진행했다.
그러나 3학년 편입생으로 구성된 1개반 30명이 한꺼번에 수강하는 과목을 제외한 나머지 강의에는 5-6명이 수강하거나 아예 한 명도 참석하지 않은 강의도 발생해 불참 학생들이 모두 결석으로 처리됐다.
학생들은 이날 '제주교대 통폐합저지 비상대책위원회' 명의의 성명을 통해 "통폐합 일정변경, 날치기 투표, 교직원 외압, 폭력총장 옹호 등 4가지 사안에 대해 교수들의 입장 표명을 요구했으나, 23일자 '교수들의 입장' 발표문은 4가지 요구 중 그 어떤 것에 대해서도 명확히 답변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비대위측은 "불명확한 내용들은 대토론회를 통해 풀 수 있길 바란다"며 토론회를 개최하기 전에는 수업에 복귀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앞서 교대 총장은 제주도지사, 도의회 의장 등 8명으로 구성된 '지역사회대책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지난 20일 성명을 내고 "학생들에게 대학의 역할을 다하지 못한 책임을 통감하고 유감스런 마음을 전달한다"며 "비상사태에 준하는 특단의 조치로 월요일(24일)부터 수업을 진행시키겠다"고 밝혔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교수들의 별도 입장 표명을 수업복귀 조건으로 내걸었고, 23일자 '교수들의 입장'이 발표되자 '불명확한 답변'을 이유로 다시 '대토론회'를 선행조건으로 내세우며 계속 수업을 거부하고 있다.
지역사회대책위원회는 19일자 '권고'에서 총장과 교수회가 통합 추진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 점에 대한 진솔한 유감 표명, 학생들의 즉각 수업복귀, 총동창회와 학부모회의 학생 설득, 교수회와 학생회의 대토론회 개최, 통합에 따른 정부의 조속한 지원계획 발표 등을 제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