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도는' 실업난 해소대책

도내 청년층 실업률ㆍ실업급여 신청자수 증가

2007-11-20     진기철 기자

제주도내 청년층 고용시장이 다시 악화되고 있지만 실업난 해소대책은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는 고용촉진사업 규모가 줄어들고 있는가 하면 일자리 역시 단순 노무나 일용직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20일 제주특별자치도 등에 따르면 도내 청년층 실업률은 지난해 평균 5.5%에서 올 9월 현재 6%로 상승했으며 실업급여 신청자도 올 10월말 현재 3823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제주도는 올해 4000개를 시작으로 2010년까지 2만개의 청년층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각종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관련 정책에 대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제주도는 올해 공공무분 신규채용 170명을 비롯해 핵심산업 등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 부문별로 2590명의 일자리를 창출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환경지킴이나 간병도우미 등 사회적일자리 창출이 696명, 인턴 214명. 기타 1028명 등 상당수가 단순 노무직이나 임시직 성격의 일자리라는 것.

단순 일자리 창출만이 아닌 보다 적극적인 정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올해 공공부문 신규채용은 170명으로 지난해 638명에 비해 73%나 줄었는가 하면 고용촉진훈련 인원도 185명으로 18% 줄었다. 또 고학력취업연수사업도 193명에서 136명으로 감소했다.

제주도의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 소속 김완근 의원은 20일 제주도 지식산업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1500여명의 채용박람회 지원자 가운데 면접 통과자는 130명에 불과하고, 2년 이상 근무자도 20%밖에 안된다”며 제주도의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안동우 위원장도 “제주도가 창출했다는 일자리의 75%가 단순 노무 및 일용직에 불과해 고용불안만 커지고 있다”면서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대책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