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20개 조합장 비상대책 회의 개최

완숙과 수확 출하…유통명령이행 앞장서기로
농가중심 자체 이행추진반 구성

2007-10-30     김용덕

비상품감귤 유통이 서서히 고개를 들고 있는 가운데 제주농협이 감귤 제값받기와 감귤유통명령이행에 앞장서기로 결의했다.

제주감귤협의회(회장 강희철 서귀포농협조합장)와 농협제주본부(본부장 현홍대)는 30일 도내 20개 농협 조합장 및 제주시․서귀포시지부장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농협제주본부 회의실에서 감귤협의회 임시총회를 개최, 농협이 앞장서서 유통명령 단속활동과 농가 홍보지도에 발벗고 나서기로 했다.

감귤협의회는 이날 임총을 통해 비상품감귤의 원천차단과 유통명령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해 대농가교육 및 홍보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완숙감귤 수확 출하하기 및 비상상품감귤 출하근절 자정 결의대회 개최 △조합별 유통명령 추진상황실 설치를 통해 비상품과 유통 지속 단속강화 △이행점검반 활동에 대한 종합지원 △감귤운송회사에 비상품감귤 운송 금지 등을 지도해 나갈 계획이다.

농협은 특히 자체적으로 단속반을 구성, 감귤유통질서를 이끌어 나가기로 결의했다.

이를 위해 본점은 전무, 지점(소)는 사무소장이 반장이 되고 조합임원, 작목반장(영농회장), 농가대표 등이 참여한 단속반 활동을 통해 조합원에 대한 출하의식 지도와 함께 위반자에 대해서는 정책지원사업 대상자 선정시 불이익을 추고, 원칙 준수 농가는 우대함으로써 감귤 출하의식 혁신을 유도할 방침이다.

강희철 협의회장은 “첫 노지감귤 출하가 시작된 지 보름도 지나지 않아 비상품감귤로 시장교란 행위가 속출하고 있다”며 “단속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농가 스스로 비상품감귤을 출하하지 않는 것만이 제주감귤을 지키고 살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하며 “조합장들의 역할 강조와 비상품감귤 유통근절에 중지를 모아 줄 것”을 당부 했다.

현홍대 본부장은 “생산자가 유통명령을 요청하고, 생산자가 유통명령을 위반하는 것은 소비자와 약속을 저버리는 것이며 감귤산업을 뒷걸음질 치게 만드는 결과를 만든다”며 “올해 만큼은 농협계통에서 위반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농가에 대한 철저한 지도를 강화 해 줄 것”을 당부 했다.

한편 29일부터 가공용감귤에 대한 수매가 시작되면서 비상품감귤유통이 줄어 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주도개발공사는 올해산 감귤에 대해 내년 1월까지 4만8500t을 가공용으로 수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