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터카 가격질서 문란행위 개선 시급

최근 할인율 40~85%…대여료 신뢰도 하락 '자초'

2007-10-23     한경훈
렌터카 업체들이 과도한 대여료 할인율을 적용, 제주관광의 이미지를 흐르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업계가 정상가격을 높게 가져가 할인율을 크게 하는 방법으로 소비자를 현혹시키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3일 제주도 등에 따르면 최근 렌터카 업체들은 신고요금에 비해 적게는 40%에서 많게는 85%까지 할인된 요금으로 차량을 대여하고 있다.

업체 난립 등으로 인해 ‘제살깎아먹기’식 과열경쟁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면서 문제는 렌터카 대여료 신뢰도를 업체 스스로 떨어뜨리고 있다는 점이다. 원가 밑으로 차량을 대여하기 만무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상가격에 할인율만큼의 거품이 끼였다는 인상을 소비자에게 주고 있는 것이다.

또 업체간 가격경쟁이 심해지면서 차량 대여 서비스의 질적 저하까지 낳고 있다.

특히 업체들은 여름철 등 성수기에는 할인율을 낮춰 잡아 렌터카 대여료가 계절에 따라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이래저래 제주관광의 이미지 하락을 자초하고 있는 셈이다.

사정이 이렇자 일부 업체들은 할인율을 일정 이하로 가져가지 못하도록 서로 약속하는 움직임도 있다. 이는 그러나 불법 담합행위로 비칠 소지가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선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가 현재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은 ‘렌터카 가격질서 문란행위’를 바로잡는 것이 업계도 살고 나아가 제주관광의 경쟁력도 강화하는 길이다. 원가계산 등 렌터카 대여료 산정체계에 종합적인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다.

제주도자동차대여사업조합 관계자는 “일부 업체간 지나친 할인율 적용을 제한하자는 논의가 있었고, 이 부분에 대한 공정위의 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내년부터 대여료 신고제가 전면 시행되면 렌터카 시장 가격질서가 어느 정도 잡힐 것”이라고 내다봤다.

제주도 관계자는 “렌터카 대여료는 업체 자율사항으로 당국이 간여하기 어렵다”며 “다만 담합행위 의혹에 대해서는 업체 지도ㆍ점검 시 강력히 계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내에 등록된 렌터카 업체는 현재 70곳으로 1만2000여대의 대여 차량이 운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