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지코지 마을주차장 매각 '들끊는 신양리'
도정불신 심화…주민들 연일 대책회의ㆍ반상회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이후 실질적으로 지방정부 역할을 하게된 제주도가 주민들의 입장에서 문제를 풀려고 해야 하는데 실제는 정반대다”
“제주도가 개발사업자 편에서 일부 주민들의 써준‘합의서’를 토대로 토지매각의 합법성만 내세우면서 주민들간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
22일 오전 서귀포시 성산읍 신양리사무소에 모인 4명의 마을주민들은 단적으로 최근 이 마을이 겪고 있는 문제의 실상을 기자에게 털어놨다.
한류열풍을 일으킨 드라마 촬영장소인 서기포시 성산읍 신양리 섭지코지‘올인 기념관’인근 주차장 매각 문제로 조용하던 신양리 전체가 들끓고 있다.
최근 마을 이장 등 주민대표들이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문제의 부당성을 알리는 기자회견을 한데 이어 이번에는 이 지역에서 삶의 대부분을 물질로 보낸 해녀들까지 이에 가세, 마을전체가 도정의 성토장으로 변하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지난 5월 14일자로 섭지코지내 주차장과 상가 및 해녀탈의장 등이 있는 고성리 62번지 일대 6078㎡가 섭지코지 해양관관단지 개발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보광에 매각된 때문이다.
주민들은 “매각이 이뤄진 토지는 1992년부터 주민들이 매립을 시작해 1998년 마무리한 것”이라면서 “마을 예산으로 이곳까지 도로를 포장하고 마을 주민들의 생업의 터전으로 삼아온 토지”라고 말했다.
주민들은 이어 “그런데도 일부 주민대표 등이 토지매각에 따른 ‘협약서’를 써 줬다는 이유만으로 제주도가 주민들의 요구를 묵살하고 있다”며 “설령 마을주민들이 토지를 매각하려고 했어도 제주도는 그렇게 해서는 안된다고 말려야 할 상황인데 실제는 이와 정반대”라고 목청을 돋구었다.
주민들은 “행정당국은 주민들을 온갖 논리로 현혹한 뒤 개발사업을 벌이는데 협조하게 한 뒤 이제 와서는 마을주민들의 소득원이고 공동체 현장인 주차장 부지를 개발사업자에게 매각, 주민들의 생활근간을 위협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김영보 신양리장은 이와 관련, “제주도가 이제는 전명에 나서 매각된 토지를 당연히 공공의 이익을 위해 원래 위치대로 환원하는 동시에 섭지코지 동쪽과 서쪽 진입도로 역시 ‘공공의 도로’로 등재해 주민 및 관광객들의 자유로운 왕래를 근본적으로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양리는 이 문제와 관련, 22일부터 마을 12개 반을 대상으로 하루 4개반씩 반상회를 열어 마을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는 동시에 반상회가 끝나는 대로 읍 관내 자생단체와의 간담회를 계획하는 등 마을 전체에 급속하게 긴장속으로 빠져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