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 외면한 감귤관련 대책

2004-08-25     제주타임스

대풍작이 예상되는 올해산 감귤 유통문제와 관련한 농정당국의 대응력은 한마디로 한심하고 실망스럽다.
농정당국은 올해산 감귤이 작년보다 10%가량 늘어난 66만 톤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이중 상품성이 떨어지는 이른바 소과(小果)가 전체 생산량의 40%선에 달할것으로 예측돼 이들 감귤이 소비사장에 유통 될 경우 상품용 감귤처리에도 치명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래서 농정당국은 상품용 감귤의 정상적인 가격형성과 원활한 유통을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비 상품성 감귤 열매솎기에 매달려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비 상품성 소과 감산만이 원활한 감귤유통을 위한 유일한 수단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열매솎기 목표량을 당초 1만5천톤에서 8만톤으로 늘려 잡은 것이다. 계획의 다섯배나 되는 양이다.

그러나 실제 농가에서는 농정당국의 8만톤 열매솎기 계획을 ‘현실을 모르는 탁상행정의 표본’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당초 열매솎기 계획인 1만5천톤도 달성하기에 버거운 현실인데 8만톤 열매솎기 계획은 감귤값이 폭락됐을 때 책임을 농가에게 전가시키려는 무책임한 말장난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8만톤을 열매솎이 하려면 성인 한사람이 하루 여덟 시간씩 작업을 한다고 하더라도 130만명이상이 동원돼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현실성 없는 농정당국의 대안은 바로 농정불신을 부르는 요인이 된다.
농정당국은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열매솎기 전개방안과 비 상품용 감귤 출하억제대책.비 상품용 감귤 처리대책 등 실현가능한 대안을 마련하는데 머리를 짜내야 할 것이다.
그저 던져보는 ‘탁상 대책’으로는 농가와 유통시장에 혼란만 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