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면은 뛰고...동은 ‘게걸음’
서귀포시 최일선 행정조직 '특색사업' 업무행태「대조」
특별자치도 출범 후 기능 보강불구 시민들 체감 '극과극'
제주특별자치 출범과 함께 종전 남제주군과 서귀포시가 하나로 합쳐진 통합 서귀포시의 최 일선 조직이 양 갈래의 갈지자걸음을 하고 있다.
옛 남군체제의 읍·면 조직의 경우 특색사업 등에서 제 목소리를 내는 반면 옛 서귀포시의 동(洞)조직은 좀처럼 움직일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로인해 이들 읍·면·동 행정행위에 대한 주민들의 평가 역시 극과 극으로 치닫고 있다.
서귀포시는 현재 본청을 중심을 5개 읍·면과 12개 동이라는 말단 행정조직으로 시민들에 대한 행정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읍·면·동은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인력 및 예산 등의 면에서 종전 시·군 체제에서 보다 기능이 크게 보강됐다.
최근 서귀포시 읍·면·동이 추진하고 있는 시책사업 가운데 눈에 띄는 사업은 우선 성산읍과 표선면이 추진하고 있는 육묘장 사업을 꼽을 수 있다.
이들 읍·면은 자체 육묘장을 조성한 뒤 관내 관광지 인근 도로변 등에 필요한 계절화 등을 직접 확보, 연간 1억원 넘는 예산을 절감하고 있다.
이와 함께 남원읍은 감귤주산지라는 지역 특성을 살려 민원실을 찾는 시민들에게 감귤쥬스 무료제공 등의 시책을 통해 이른바 ‘시민 속으로’파고 들기를 시도하고 있다.
안덕면의 경우에도 관내 주민들과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설명회 등을 수시로 개최하는 한편 지역 내 유력업체와 주민자치센터가 자매결연, 지역의 공동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이처럼 읍·면 지역과 달리 옛 서귀포 도심을 중심으로 시민들의 체감 서비스를 끌어 올려야 하는 동 지역은 극명한 대조를 보이고 있다.
일부 동의 경우 지역 내 자생단체를 중심으로 특색사업 등이 전개되고 있으나 이 역시 소수에 그쳐 시민들의 눈높이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행정시의 본청과 지척에 있는 옛 서귀포 시지역 동사무소가 이처럼 ‘수동적 업무행태’를 벗어나지 못하면서 서귀포시의 전반적인 조직관리 문제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