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남인구 ‘탈농촌’ 줄이어
특별자치 1년새 1400여명 감소…제주시 집중 가속
지난해 7월 1일자로 종전 서귀포시와 남제주군이 폐지된 이후 이른바 ‘산남지역’ 인구이탈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종전 민선시.군체제의 경우 단체장들이 직접 나서 ‘돌아오는 농어촌 운동’ 등의 명목으로 지역 인구 유입책을 강도 높게 추진해 왔으나 기초자치단체장들에 대한 직선제 폐지 후 이마저 중단돼 지자체 역시 속수무책이다.
3일 제주도와 서귀포시에 따르면 올 6월말 현재 서귀포시 지역 인구는 종전 남군지역인 읍.면 지역 7만1523명과 종전 서귀포시 지역인 동지역 8만2440명 등 모두 15만3963명에 이르고 있다.
올 6월말 현재 이 같은 인구수는 지난해 6월말 당시 남군 7만2932명과 서귀포시 8만2780명 등 모두 15만5712명에 비해 1749명이 감소한 것이다.
반면 이 기간 제주도 전체 주민등록상 인구(외국인 제외)는 지난해 6월말 55만8746명에서 55만8850명으로 100여명이 늘어 대조를 보이고 있다.
결과적으로 종전 제주 산남 농어촌 지역 주민들이 상대적으로 교육 및 문화여건이 양호한 제주시를 중심으로 하는 산북지역으로 대거 이탈한 것이다.
특히 종전 남제주군 지역의 경우 1년 새 무려 1409명이 이탈, 산남 농어민들의 탈 농촌현상이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산남지역에 대규모 관광개발 등과 함께 교육.문화 시설 확충 등 특단의 인구유입책 등이 선결되지 않을 경우 산남 공동화 현상은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이와 관련, “앞으로 제주혁신도시 건설과 함께 제2혁신도시 유치 등 실질적인 인구 유입책이 시행될 경우 현재와 같은 급속한 인구이탈은 수그러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