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가 동북아 공동체 중심돼야" 「평화포럼」폐막

2007-06-24     임창준
제4회 제주평화포럼이 23일 저녁 '평화의 섬 제주도가 동북아 공동체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중심이 돼야한다'는 등의 내용을 담은 '제주선언'을 채택한 뒤 사흘간의 공식 일정을 모두 마쳤다.

이날 참가자들은 북핵 등 동북아 안보문제를 위한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 유럽 통합의 교훈, 한국의 역할, 6자회담의 미래, 동북아 협력체제 구축에 있어 제주의 역할 등을 내용으로 하는 7개 항의 '제주선언'을 채택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동북아 협력체제의 구축을 위해서 유럽안보협력기구의 창설 과정인 '헬싱키 프로세스'에서 배울점이 많다"며 "특히 이 과정에서 강대국의 경합관계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던 핀란드, 유고슬라비아, 스위스 등 중소 국가들의 역할이 중요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국가의 규모와 지정학적 맥락에서 볼 때 한국은 동북아 협력체제의 구축을 추진하는데 적합한 국가라는 데 의견을 같이 한다"며 "동북아의 정부.비정부 간 협력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헬싱키 프로세스를 모델로 하는 '제주 프로세스'를 실현할 것"을 제안했다.

이들은 또 "2005년 1월 한국정부가 '세계 평화의 섬'으로 지정한 제주가 동북아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모든 과정의 중심이 되는데 가장 적합하다"며 "이를 위한 조속한 조치가 취해지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제주선언을 끝으로 막을 내린 이번 평화포럼은 경제협력을 통한 안보 해결이라는 맥락으로 진행됐다.

동북아 안보와 자동차 산업 및 에너지 전략과 관련한 패널회의가 열렸으며, 동북아시아의 지역 FTA에 대한 전망과 관련한 토론의 장도 마련됐다.
▲'제주 프로세스'의 모델인 '헬싱키 프로세스(Helsinki Process)'란
1975년 미국과 서유럽 국가들은 옛 소련 및 동유럽 국가들과 안보회의를 개최, 안보와 인권 조항이 모두 포함된 헬싱키협약을 체결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국가간의 교류를 통해 공산체제의 붕괴와 동유럽 해방을 이끌어냈다. 이 역사적인 과정을 헬싱키 프로세스라 부른다. 유럽안보협력회의(OSCE)라는 타이틀로 발족한 회의체에서 안보문제를 군사적 문제로 국한하지 않고 포괄적 안보에 입각한 경제·문화·인권 등을 포함, 1995년 유럽안보협력기구(CSCE)로 제도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