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가공연구센터 인프라구축 필수"
최근 소비 추세 맞춘 식품가공 아이디어 발굴해야…업종 구조조정과 인수ㆍ합병 통한 중ㆍ대형화 필요
2007-06-15 한경훈
한승철 한라일보 기획부장은 15일 제주도의회 의원연구모임 제주미래전략산업연구회가 서귀포시청에서 개최한 정책토론회에서 ‘바이오식품 육성 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제주도 1차산업 전체 수출액 중 82%가 직접 수출하는 방식으로 상품의 부가가치를 떨어뜨리고 있다”며 “1차산업 분야별로 웰빙 등 소비추세에 맞춘 식품가공 품목 아이디어을 발굴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한 부장은 이를 위해 “제주형 식품가공산업의 업그레이드 전략과 공동 마케팅 활성화가 필요하다”며 “식품가공식품연구센터 인프라 구축을 통해 식품제조기술 개발과 업체에 대한 기술이전, 포장 디자인 공동연구, 시장개척 연구를 담당케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지역 식품가공 업체들은 경영규모가 영세하고 자기상표 브랜드화 노하우나 제품에 대한 판로망을 확보하지 못해 제품을 개발해 놓고도 사장시키는 경우가 흔하다”며 “식품가공연구센터와 같은 인프라 구축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식품가공연구센터의 비전과 추진 전략에 대해 “청정1차산업 육성전략과 연계해 음식료품제조업의 활성화를 꾀하고, 제주도의 자치재정권을 활용, 제주지방개발공사에 대한 증자 등의 지원을 통해 동사를 유명 종합 음식료품제조업체로 육성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제주지역 제조업체의 낮은 생산성은 규모의 경제를 누리지 못한데 기인하는 점을 감안, 음식료품제조업체를 제외한 여타 업종은 구조조정과 인수ㆍ합병 등을 통해 중ㆍ대형화시켜야 한다”며 “이를 위해 인수ㆍ합병 시 고용 승계되는 직원에 대한 지원대책을 강구하고, 또한 합병업체에 대해 일정기간 신규창업과 같은 세제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