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 상장품목 지속 전망
서울농수산물공사, “비상장 일 없을 것” //도, 자조금 조성…품종갱신ㆍ파종기 지원
당근이 도매시장 상장품목으로서의 지위를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주도와 제주당근협의회에 따르면 지난 13일 제주도 차우진 친환경농축산국장, 부인하 제주당근협의회장 등 관계자 4명이 상경, 서울시 권영진 정무부시장과 정순구 산업국장, 김주수 농수산물공사 사장과 면담한 결과 제주도의 입장을 적극 반영, 당근을 상장품목으로 지속 유지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키로 했다.
농협제주본부에 따르면 제주 당근은 제주시 구좌, 서귀포시 성산과 표선 등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재배되고 있는 제주의 대표적 밭작물로 전국 생산량의 82%를 차지할 정도로 생산비중이 높은데다 지역 농가들의 생계형 소득작물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당근을 비상장 거래품목으로 지정될 경우 중도매인 등 상인들의 거래투명성 상실과 수입당근 불법유통 물량 증가, 상인들의 가격담합에 따른 가격하락 등 시장교란이 우려, 당근농가에 직접적인 피해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부인하 제주당근협의회장은 “전국산지유통인중앙연합회가 최근 비상장품목 전환 건의서에 첨부된 지지서명자 가운데 일부는 서명한 사실이 없는데 이런 식으로 산지의견을 왜곡할 경우 제주지역 2400여 농가를 대상으로 비상장전환을 절대 불가하다는 내용의 서명운동과 함께 항의활동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수주 농수산물공사 사장은 “중요한 상황이 발생하면 우선 산지 조사를 거쳐 의견을 수렴해 나갈 것”이라면서 “현재로서는 당근을 비상장품목으로 전환해야 할 상황이 아닌만큼 크게 우려하지 말아달라”고 밝혔다.
제주도는 이 같은 상황전개에 따라 제주당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품종갱신사업(900ha, 4억500만원) 및 당근 파종기 지원(40대, 2억4000만원) 등 지원 시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또 당근을 중심으로 자조금을 조성, 과잉생산시 농가 스스로 수급 조절과 판로확대 및 홍보사업 등을 추진해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