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 시범도시' 조성
道, 기후 온난화 물질 규제위해 기준 설정
2007-05-29 임창준
29일 제주도 (청정환경국)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문제가 21세기 인류 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로 단순히 자방자치단체 차원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정부, 시민단체, 기업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대두됨에따라 지속가능한 환경보전을 위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특단의 조치를 취해 나가기로 하고 환경부와 이 문제를 협의하고 있다.
선진도시들의 기후 변화 대응사례를 보면 일본 도쿄의 경우 2009년까지 2004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10% 삭감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스페인(바르셀로나)은 건물 신축시 난방과 온수용으로 60% 이상을 태양 에너지로 사용하는 것을 조례로 규정하고 있다.
스웨덴 스톡홀름은 2050년까지 1인당 CO2 배출량을 0으로 추진하고 있다.
도는 제주 지역이 지역특성상 기후변화에 민감한 식생분포로 기후변화 연구가 용이하고 1차와 3차 위주의 산업구조로 기후온난화 물질 저감 및 규제를 위한 여건을 갖추고 있는 만큼 제주도를 기후변화 대응 시범도시로 조성해 나가는데 전국의 다른 도시보다 월등한 환경. 기후여건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도는 우선 기후 온난화 물질 총량을 모니터링 조사하는 한편,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에 의한 온실효과 가스 흡수원 대책수립, 제주형 그린빌딩 조성 등 기후변화대응 도시 프로그램을 도입하게 된다 또 지구온난화 대책 매뉴얼에 근거한 산업체와 감축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제주도는 시범도시 조성 기본전략 수립을 위해 6월부터 학계와 환경단체, 전문가를 주축으로 T/F팀을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오문호 도 청정환경국장은 “제주지역은 최근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 및 유네스코 자연유산 등재 가능성 고조 등 제주를 청정지역으로 이미지를 확고히 할 수 있는 기반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후변화 대응 시범도시 조성을 추진하기에 적지여서 다른 지역보다 경쟁력이 높아 이를 추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