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진입 규제봉 '수난시대'
불법 주ㆍ정차로 훼손돼 무용지물…관리 이원화도 문제
자동차들의 불법U턴 방지와 이면도로 보행권 확보를 위해 설치된 도로부속 시설물(규제봉)들이 일부 양심불량 운전자들에 의해 수난을 겪고 있는가 하면 사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제주시에 따르면 7일 현재 삼도2동 지역인 경우 규제봉이 1670여개가 설치돼 있는데 이 중 640여개(38%)가 파손되거나 오염돼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규제봉을 정비하는데 드는 예산만 3800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규제봉은 고무로 만들어져서 탄력성이 있어 차량에 부딪쳐도 흠집이 나거나 손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일부 몰지각한 운전자들이 규제봉을 무시해 주.정차를 일삼고 있어 파손 및 오염이 가속화되고 있다.
시설초기 어느 정도 효과를 보던 규제봉이 몰지각한 운전자들로 인해 있으나 마나한 무용지물이 되고 있는 것.
그런데 파손되거나 오염된 규제봉이 생겨나도 설치부서가 각각 달라 사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즉시 교체가 이뤄지지 않는 등 도심지 미관까지 해치고 있는 실정이다.
도로부속 시설물인 차량진입 방지봉은 도로 및 교통 부서에서 차량 주.정차 및 불법U턴 방지, 중앙차선 침범 예방, 이면도로 보행권 확보, 노외주차장 관리 등을 위해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시설이 교통행정과와 건설과, 차량관리과 등에서 설치.관리하고 있는 상황이라 관리부서가 명확하지 않다.
때문에 규제봉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부서를 일원화해 즉시 교체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규제봉을 파손하거나 이를 무시하고 주.정차를 일삼는 운전자에 대한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제주시 관계자는 “교통행정과와 건설과, 차량관리과 관계자들과 함께 간담회를 갖고 일률적이고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