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 결국 '계절관세'로 가나

한ㆍ미 FTA 고위급 협상 '끝물'에

2007-03-29     임창준

한ㆍ미 FTA협상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29일 박흥수 농림부 장관이 "감귤류 계절관세 도입이 가능하다"고 밝혀 정부가 사실상 계절관세 방향으로 협상을 끌고 가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도민들에게는 충격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 때문에 한ㆍ미 FTA가 시작된 이후 줄곧 감귤을 FTA 협상 품목에서 제외해줄 것을 줄기차게 요구하며 미국 및 서울 제주 협상장을 오가며 공들인 김태환 도지사를 비롯한 제주도 생산자단체, 감귤민간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의 노력이 헛수고로 돌아갈 위기에 처해있다.

박장관은 이날 과천 청사에서 열린 한ㆍ미 FTA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한 뒤 집무실에서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한미 FTA 농업 분야 쟁점에 대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고 연합뉴스가 이날 오후 보도했다.

오렌지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박장관은 "오렌지 역시 안정적으로 15∼20년 장기간에 걸쳐 관세를 낮추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이번 FTA에서) 관세 완전철폐는 어렵고 우리 감귤이 생산되지 않는 기간에 관세를 낮추는 계절관세는 가능하다"고 답했다.

박장관의 이러한 발언은, 우리 정부가 초 민감품목인 "쇠고기와 오렌지의 관세를 완전히 없애자"는 미국 측의 주장에 대한 협상안으로 감귤류 계절관세 도입을 분명히 설정하고 있음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막판 FTA 협상의 길목에서 위기에 처한 감귤을 되살리기 위해선 정치권이나 정부 고위층의 정치적인 특단의 대책이나 결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