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균형발전포럼」 24일 출범

각 분야 50여명 운영위원으로 구성…실천가능 정책 등 제시

2007-03-25     한경훈
산ㆍ남북 균형발전에 대한 정책과 대안 개발을 위한 제주균형발전포럼(공동대표 민명원ㆍ송형록ㆍ오제호ㆍ정구철)이 출발했다.

제주균형발전포럼은 지난 24일 서귀포시 김정문화회관에서 창립기념식 및 창립기념세미나를 개최했다.

도내 각 분야 50여명의 운영위원으로 구성된 제주균형발전포럼은 사회적 인프라의 제주시 집중이 제주 균형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라는 인식 아래 산ㆍ남북, 도ㆍ농, 계층 간 균형발전을 위한 실천 가능한 정책과 대안을 연구ㆍ제안해 나갈 계획이다.

고승한 제주발전연구원 박사는 이날 세미나에서 ‘서귀포시 발전방향과 과제-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하여’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감귤산업의 위기 △관광자원 고갈 및 고부가가치 관광산업 창출 미흡 △신성장동력산업의 부재 △우수인력 재유입 전략 부재 △저출산ㆍ고령화 현상의 확산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의 부재 등을 서귀포시 저발전 원인으로 꼽았다.

서귀포시 발전 방안으로는 제주형 밭농업 직불제 시행, 농촌과 관광의 연계 등 새로운 농업 환경에 대한 생존전략 수립과 신성장동력산업의 육성ㆍ지원을 주문했다.

또 체류형ㆍ체험형 관광지 조성, 권역별 관광산업의 특성화 및 연계성 전략 수립 등을 역설했다.

이어 주제발표한 양상호 탐라대 교수는 ‘서귀포 도시 경관을 위한 제언’에서 “서귀포시 발전을 위해서는 정체성과 역사성을 표현하는 도시경관을 갖춰야 한다”면서 “시민들도 건축 시 개인적 이익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공공성을 고려하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제발표에 앞서 정구철 공동대표는 인사말에서 “서귀포시민의 삶의 질이 높아지지 않고는 제주 전체의 발전은 요원하다”며 “포럼은 일차적으로 서귀포시민의 실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전 분야에서의 불편과 소외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과 대안을 집중적으로 고민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