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작물 GAP인증 ‘전무’
농가 인식 절대부족 원인…농협 "홍보 강화 할 것"
지난해부터 도입 운영되고 있는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 인증사업이 감귤류에만 편중, 밭작물 인증은 하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GAP홍보와 농가의 친환경 밭작물에 대한 인식이 절대 부족한 때문이다.
GAP는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농산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농산물의 생산단계부터 수확후 포장단계까지 토양, 수질 등의 농업환경 및 농산물 잔류 농약, 중금속 또는 유해생물 등의 위해요소를 집중 관리하는 제도다. GAP인증사업은 생산이력추적제를 필수적으로 이행해야 할 뿐 아니라 불신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리콜제가 특징이다.
농림부는 식품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 소비자가 만족하는 농산물 생산․유통체계 구축 및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 2002년 도입을 검토, 2004~2005년 시범사업을 거쳐 지난해부터 본격 시행하고 있다.
농협중앙회는 이에 따라 GAP인증 제1호로 지정받아 전국 각 지역 농협에서 GAP인증신청을 받아 현장심사를 거쳐 인증해주고 있다.
제주지역의 경우 지난해 제주시농협이 비가림감귤에 대한 GAP인증을 받았다. 올해는 이달말 하귀농협이 현장승인을 마쳐 GAP인증신청이 들어간 상태다. 또 안덕․중문․남원농협이 다음달에 인증을 받을 전망이다.
이어 애월․한경․위미․제주감협이 한라봉과 노지 및 비가림감귤에 대해 GAP인증을 신청, 올 연말 또는 내년초에 인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제주는 내년초까지 14개 작목반 200여 농가가 GAP인증을 받아 소비자들에게 높은 신뢰도를 쌓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문제는 밭작물. 현재까지 밭작물 GAP인증은 한 건도 없다. 일부 밭작물 농가가 개별적으로 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받았지만 작목반 구성은 사실상 없는 상태다.
농협 관계자는 “GAP인증사업은 가장 우선적으로 생산이력추적제가 필수이기 때문에 농약살포 등 영농재배일지를 반드시 기록해야 한다”면서 “이 부분에 대해 농가들이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는게 가장 문제”라고 말했다.
특히 아무렇게나 파종, 농약을 뿌리고 때가 되면 수확하는 관습농법에서 탈피, 일조량을 풍부하게 하고 관수와 저농약 및 유기농법을 활용하는 이랑파종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농가들은 이를 외면, 소비자들로부터 높은 신뢰를 얻고 있는 친환경농산물 재배를 스스로 차버리고 있는 것이다.
농협 관계자는 “친환경농산물 인증의 경우 친환경 자재 지원 등이 이뤄지고 있지만 GAP인증은 인센티브가 없어 농민들이 외면하고 있는게 사실”이라면서 “앞으로 조합지도를 통해 밭작물도 GAP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시행후 겉돌고 있는 GAP인증사업에 대한 농협의 전향적인 자세와 교육지도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