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의료원 노조 파업 결의

지난해 6월부터 사측과 44차례 교섭 …끝내 결렬

2007-01-07     한경훈
서귀포의료원 노조가 파업을 결의했다.
공공서비스노조 의료연대제주지역본부 서귀포의료원분회는 “지난 3~5일까지 제적 조합원 116명 중 97%가 파업찬반투표에 참가, 찬성률 71%로 파업이 가결됐다”고 7일 밝혔다.
서귀포의료원분회는 이에 따라 향후 1주일간 최종 교섭이 결렬될 경우 15일간의 조정기간을 거쳐 파업투쟁에 돌입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의료원분회는 2005년 11월 노조를 결성한 후 단체협약 체결을 위해 지난해 6월부터 사측과 모두 44차례에 4걸쳐 교섭을 진행했다.
그러나 사측이 적자경영의 어려움을 노동자에게 전가시킬 뿐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및 처우개선, 의료환경 개선을 위한 인력충원, 인사경영의 투명성 보장 등에 대해선 무성의로 일관, 교섭을 장기화 시키고 있어 파업찬반투표를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의료원분회는 “그동안 의료원 경영 정상화를 위해 임금의 일정 부분과 각종 성과수당을 반납하고 임금인상 요구도 자제했음에도 정작 의사들은 매년 상당한 연봉을 인상시켜왔으며 4급 이상 관리직 임금도 전국 지방의료원 중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이는 ‘경영 적자’ 운운하며 노동자들을 기만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의료원분회는 이어 “서귀포의료원은 전국 34개 지방공사의료원 가운데 15위권에 들 정도로 경영이 안정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끊임없이 ‘적자 논리’를 펴며 비정규직 처우개선, 인력충원 등은 물론 퇴직금 등 각종 노동조건에 대한 원상회복 요구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사측을 비난했다.
의료원분회는 특히 “비정규직의 경우 교통비를 제외하고 나면 법정최저임금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등 그 처우가 가히 폭력적”이라며 “사측이 비합리적인 경영방식을 바꿔 서귀포의료원이 진정 서귀포지역의 공공거점병원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