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ㆍ면 생활쓰레기 직영제 전환
2006-09-14 한경훈
이에 따라 도내 청소업무에 대한 일괄 관리가 가능, 업무의 효율성과 예산절감의 효과가 기대된다.
14일 서귀포시에 따르면 지난 7월 시ㆍ군 통합 이전 자치단체 중 남제주군에서만 청소업무를 민간업체에 위탁해 시행했다.
5개 읍면이 각각 대행업체를 선정, 생활쓰레기 수집ㆍ운반 및 가로청소 등을 실시한 것이다.
그러나 민간위탁이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에도 지속되면서 도내 청소업무 일관성에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예컨대 매립장 관리에 있어 도사업운영본부에서 일괄 관리하고 있으나 서귀포시 5개 읍ㆍ면은 이 대열에 빠진 실정이다. 특별자치도 시행에 따른 시ㆍ군 통합의 의미를 무색하게 하는 것이다.
서귀포시는 이에 따라 읍면 생활쓰레기 처리를 직영화하기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직영계획을 마련해 지난 8월 제주도에 제출하는 한편 지역 추진사항을 청소대행업체에 통보했다.
시는 직영개시일을 당초 내년 1월1일을 잡았으나 업무 인수ㆍ인계를 감안해 7개월 늦은 7월1일로 조정했다.
청소업무가 직영체제로 전환될 경우 청소인력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환경정비 동원의 신속성도 증대될 것으로 시는 예상하고 있다.
특히 연간 1억2000만원의 예산절감 효과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재활용품 판매 이익을 종전에는 청소원 상조회비 등에 썼으나 직영으로 전환하면 이를 시 재정으로 흡수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문제는 대행업체의 반발. 기존 청소인력의 생계가 걸린 사안이기 때문이다. 시는 이와 관련, 기존 대행업체의 인력 전원(51명) 채용을 원칙으로 직영을 추진, 잡음을 없앤다는 복안이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읍면 생활쓰레기 처리 직영은 변화하는 청소행정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라며 “직영으로 인한 업무소홀이 없도록 대행업체 관리에 철저를 기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