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수익'불구 큰 돈은 못만져”

풍력발전 ‘황금알을 낳는 사업’?

2006-09-11     정흥남

제주지역이 신재쟁에너지 메카로 부상하면서 도내 곳곳에서 추진되고 있는 풍력발전사업.
최근 성산읍 난산지역 풍력발전을 둘러싼 지역주민들간 갈등 등에도 불구하고 풍력발전사업은 ‘잘하면 돈벌이가 되는 사업’으로 인식되면서 확산조짐을 보이고 있다.
풍력발전사업은 과연 ‘황금알을 낳는 산업’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가.
이에대해 강성후 제주도 청정에너지 과장은 “큰 돈을 벌 수 없지만 일정수익(이익)은 보장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태
제주의 풍력발전을 대표하는 곳은 15기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는 행원단지를 꼽는다.
행원 풍력발전단지는 1997년부터 2003년까지 국비 156억원과 지방비 47억원 등 203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행원단지에서 생산된 전기는 전량 한국전력이 구입하고 있는데 제주도는 행원단지를 가동하면서 연간 14억원의 판매수입을 기록하고 있다.
행원단지에 이어 민간분야의 풍력발전은 2004년 3월부터 가동되고 있는 한경풍력발전단지가 도내 최초로 기록되고 있다.
이곳에는 1.5MW급 4개의 발전기가 가동되고 있다.
한경풍력발전에는 15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후발업체들 잇따라
한경풍력발전외에 현재 개발사업이 진행중인 민간 풍력발전사업은 성산읍 난산 풍력발전단지로 이곳에는 2.1MW급 7기가 들어서게 된다.
시설비 300억원이 투입되는 난산풍력발전단지는 유니슨(주)가 맡고 있다.
이어 최근 제주도가 풍력발전은 승인한 (주)삼무의 한경해상풍력발전사업은 한경명 두모~판포간 공유수면에 총사업비 600억원을 투입, 3MW급 10기를 80m높이의 타워에 시설하는 것이다.


△적자보전
풍력발전은 사업초기 수백억원대에 이르는 투지비용 확보문제가 최대 난제로 자리잡고 있다.
풍력발전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법에 따라 제도적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법은 우선 민간 풍력발전사가 전력을 생산할 경우 향후 15년간 한국전력 등이 매입을 의무화 하고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한전측의 적자는 정부가 보상하는 이른바‘발전차액 보전제’가 시행되고 있다.
정부는 이에따라 kw/h당 투입비용을 90.7원으로 보고 실제 전력을 매입할 때는 107.7원을 투입해 결과적으로 개발사업자에 kw/h당 17원의 수입을 보장해 주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이와함께 풍력발전사업자의 초기 투입비용 가운데 일부를 장기 저리자금으로 지원해 주고 있다.


△전망
정부의 이 같은 민간풍력발전 사업자 지원은 신재생에너지 생산이라는 측면과 함께 국내 풍력발전 신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측면이 강하다.
현재 세계 풍력발전 기술은 미국과 덴마크 독일 영국 등 극소수의 국가들이 독점하고 있다.
국내 풍력발전기 개발은 초보적인 단계를 벗어나 본 제품 생산을 목전에 두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해 4월 한국에너지 연구원과 업무협약을 맺고 풍력발전기 국산화를 돕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에너지 연구원은 구좌읍 월정리에 연구기지를 세우고 순 국산기술에 의한 1.5mw급 풍력발전기 1기를 설치한 뒤 시험가동을 하고 있다.


제주도 지역은 전체 전력수요량의 2.1%를 풍력발전으로 충당하고 있다.
제주도는 2011년까지 도내 전력수요의 10%를 풍력발전으로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풍력발전은 근본적으로 국내 풍력발전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정부차원에서 지원이 이뤄지는 것”이라면서 “초기 막대한 자본금 투입에도 불구하고 풍력발전사업으로 큰 수익을 창출하기는 현실적으로 곤란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