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 감소로 지가 '보합세'
올해 들어 제주지역 토지거래가 감소하면서 지가도 전반적으로 보합세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17일 한국토지공사 제주지사에 따르면 금년 상반기 도내 토지거래건수는 모두 2만2608필지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2.1%로 감소했다.
이는 국내경제 및 지역경제의 침체, 자치단체의 중산간 지역 난개발 방지지침 운영 등에 따른 부동산시장의 침체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도내 지가가 보합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지역에 따라 큰 편차가 생기고 있다. 즉, 개발사업이 활발히 이뤄지는 지역, 해안변 및 조망이 양호한 지역, 도시기반시설이 완비돼 있어 별장, 펜션, 등의 건축 가능 지역은 소폭의 강세 및 강보합세인 반면, 기존 도심지내 상업지역 및 감귤과수원 등의 순수농경지, 산간지역의 임야의 경우는 약세 내지는 약보합세라고 토지공사는 밝혔다.
지역별로 지가동향을 살펴보면 제주시의 경우 노형택지개발지구 및 시민복지타운개발사업 인근지역, 도시계획도로 개설예정지역 등 개발기대심리가 높은 지역은 강보합세이나, 그 외 지역은 토지거래 감소와 더불어 지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서귀포시는 상업.주거.공업지역 모두 보합세 내지는 약보합세인 가운데 ‘휴양형 전원주거단지’ 개발에 따라 관심이 부각된 상예동, 중문동, 등 역시 그 동안 많이 오른 지가에 대한 부담감 등으로 인해 거래가 주춤,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2002년도에 토지거래 및 지가상승폭이 가장 컸던 북제주군의 경우 외지인 매수세가 크게 감소하면서 건수로 전년동기 대비 15.4% 토지거래 감소율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중산간도로(국도16호선) 확.포장건설 예정지역, 골프장을 비롯한 개발사업 인근지역 및 해안을 끼고 있는 지역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약보합세다.
남제주군 지역은 다수의 부동산컨설팅업체들이 남원읍 수망리, 표선면 가시리 일원 등의 토지를 대규모의 매입, 외지인에게 매각하면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토지거래건수가 33.3%나 늘어났다. 그러나 부동산사기 의혹 보도기사 등의 영향으로 인근지역 지가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