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자주적 의사 정부정책에 반영"

김태환 지사 '해군기지 '입장발표

2006-09-01     정흥남

김태환 제주도지사는 1일“해군기지 건설과 관련한 도민들의 자주적 의사를 집약해, 도민의 의사가 정부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조치를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날 ‘제주해군기지 건설과 관련한 제주특별자치도 입장’의 기자간담회 자료를 통해 이같이 강조한 뒤 “해군기지 건설을 전제한 어떠한 내용도 해군측과 합의한 사실이 없다”면서“지난달 30일 해군이 발표한 '내년 9월 이후 제주해군기지 건설 계획 본격 착수와 관련한 로드맵'은 단지 해군본부 측의 입장일 뿐”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지금 제주해군기지 건설 문제를 놓고 첨예하게 논란이 일고 있다”며“그러나 객관적인 조사결과가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해군기지 건설과 관련해 섣부른 속단을 내리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현재 제주도는 제주해군기지가 과연 제주도의 미래발전에 적합타당한 지를 놓고 모든 것을 백지상태에서 기초조사를 벌이고 있다”며“제주도는 해군기지 건설을 전제한 어떠한 내용도 합의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도민들도 냉정하게 무엇이 제주의 미래를 위한 일인지를 함께 고민해 달라”며“그러나 지금 단계에서 찬반 논란이 과열된다면 도민 역량을 극대화하는 데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섣부른 찬반 논쟁을 경계했다.

김 지사는 이어“민관합동으로 이뤄지는 제주도T/F팀의 해군기지 기초조사 결과가 나온 다음 찬성과 반대를 공론화 해줄 것을 다시 한번 부탁 드린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도민의 합의 없이는 해군기지가 강행될 수 없다”며“노무현 대통령도 '도민 의견을 무시하고 해군기지를 강행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지난해 6월 9일 당시 이해찬 총리도 국회발언을 통해 '도민들과의 충분한 협의'를 강조했다”고 소개했다.

김 지사는“객관적 자료를 갖고 도민 공론화가 될 때까지 미리 예단하지 말고 냉정하게 추이를 지켜봐 달라”며“해군기지와 관련한 일련의 결정 사항들에 대해 도지사인 제가 모든 책임을 다 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