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자유무역지역’ 흐지부지

종합계획‘보완계획’, “제2첨단지와 연계”..사실상 백지화

2006-08-20     정흥남
제주국제자유도시 7대 선도프로젝트 가운데 유일하게 제주도가 사업시행자인 ‘공항자유무역지역 조성사업’이 사실상 백지화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제주국제자유시 선도프로젝트 사업시행에 지방정부가 배제됨에 따라 앞으로 적지 않은 논란이 일 전망이다.
제주도는 2000년 초 제주국제자유도시 기본계획 수립 당시부터 제주국제공항 인근지역 54만㎡에 일반.냉동.냉장창고, 단순가공 조립공장, 면세쇼핑, 오피스텔 등을 조정한 뒤 이 곳에 의약품산업과 보석가공업, 하이테크 산업 등을 유치하는 제주국제공항 자유무역지역 조성사업을 추진해 왔다.
제주도는 이 사업을 처음에는‘산업단지’ 성격의 단지조성에 무게를 두고 산업자원부를 상대로 단지 지정과 함께 국고지원을 받는 방안을 추진했다.
2004년 4월 제주도는 이의 일환으로 산업자원부에 산업단지 형태의 공항자유무역 지역지정을 신청했다.
산업자원부는 그러나 제주지역의 경우 2차 산업 활동이 미약하고 산업입지가 부족, 부적합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제주도는 산자부가 이를 거부하자 2005년 11월 이번에는 방향을 바꿔 건설교통부에 공항자유무역 조성사업을 타진했다.
건교부는 이에 대해 제주국제공항의 국제화물 물동량이 기대만큼 많지 않은데다 국제화물수요 역시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부정적 입장을 제주도에 통보했다.
결국 제주도는 이 사업과 관련, 산자부와 건교부 양측 모두로부터 ‘지지’를 이끌어 내지 못해 사실상의 파국을 맞은 셈이다.
이사업과 관련, 최근 제주발전연구원에 제주도에 제출한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보완계획(안)’에 따르면 공항자유무역 지대는 추진시기를 재조정, 제2첨단과학기술단지 조성사업과 연계해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그러나 용역보고서는 이와 함께‘제2첨단과학기술단지 조성사업’에 대해해도 입주 희망기업 수요조사 및 사업타당성 검토를 거쳐 시행할 것을 주문하는 등 조기실현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공항자유무역지역 조성사업이 제2첨단과학기술단지와 병행 추진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