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경제살리기 ‘총동원령’

지역생산품 구입ㆍ재래시장 이용 등 다양한 시책 추진

2006-08-15     정흥남
제주도가 특별자치도 출범후 1개월째인 8월을 ‘경제사리기의 달’로 결정한 가운데 제주도 각 부서별 다양한 형태의 경제 살리기 시책들이 나오고 있다.
특히 지난 7일 김태환 지사가 확대간부회의를 통해 지역경제 살리기에 집중하고 자신이 직접 챙겨나가겠다고 밝힌 이후 제주도 각 부서는 경쟁적으로 경제살리기 시책들을 쏟아내고 있다.
우선 달라진 것은 각 사무실 소모품들이 대부분 지역생산품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함께 상당수 부서를 중심으로 지역 생산품 및 농산물 선물, 재래시장 간담회 및 장보기 행사 등이 줄을 있고 있다.
또 공사용 소요자재를 지역생산품으로 전환, 구입하는가하면 대중교통 이용카드 구입, 중소기업 현장 방문 등의 시책들도 전개되고 있다.
이밖에 여직회의 재래시장 이용운동 등도 눈길을 끌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과 간담회가 잇따라 열리고 있으며 중소기업 조합 대표자 간담회, 상공회의소 임원과의 간담회 등을 통해 지역경제 살리기에 대한 제주도의 입장전달 및 업계의 애로사항 청취 등의 행사도 열리고 있다.
제주도는 이 같은 경제살리기 도정을 대내외에 알리기 위해 도청 정면에‘제주경제 살리기 동참합시다’라는 대형 걸개그림까지 부착하는 것 외에도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해서도 도민들의 동참을 호소하고 있다.
제주도는 소비자단체 대표 등 각종 단체.회의 등을 통해 경제 살리기에 시민들의 동참을 당부하는 한편 결의대회 등을 통해 이 같은 붐을 도 전역으로 확산시킨다는 계획도 검토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역경제 살리기 운동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16일 도청 대강당에서 지역경제 살리기 범도민대책협의회 위원들을 초청, 도민 보고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그러나 제주도의 이 같은 경제살리기 운동 이면에서는 적지 않은 부작용도 속출하고 있다.
특별자치도 출범 후 행정구조개편에 따른 숱한 부작용들을 점진적으로 극복, 행정이 점차 제자리를 찾아가는 순간에 갑작스럽게 ‘지역경제 살리기’가 튀어나오면서 지역경제 살리기 운동이 급조된 시책이라는 인상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특히 제주도 각 실국 등은 경쟁적으로 지역경제 살리기 시책들을 내 놓고 있는데 상당수 시책들이 기존 내용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어서 과연 이번 제주도의 지역경제 살리기 운동이 기대만큼 실물분야에서 효과를 거둘지 벌써 우려의 목소리가 곳곳에서 분출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지역경제 회복의 경우 단기간에 그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면서 “행정분야에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노력을 경주, 서민들의 체감경기가 다소 회복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