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예산 있으면 기존학교 학생 평화교육에 투입해야"
제주주민자치연대, "제주평화학교 설립 취지 지켜라"
2006-08-11 진기철
(가)제주평화학교 설립을 놓고 제주도내 교원단체와 제주평화학교 설립 추진위원회 사이에 공방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제주주민자치연대는 "제주평화학교가 애초의 설립취지를 지키되 소수 특정층의 아이들만 갈 수 있는 '귀족학교'가 아니냐는 오해를 먼저 풀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주주민자치연대(대표 정민구)는 11일 논평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나눔과 돌봄, 평화, 인권, 생태 등의 가치를 입시교육 위주의 기성교육에서 담아내는데 한계가 있어 대안교육의 모델로 평화학교가 고민되었다면 순수한 대안교육의 형식으로 가져가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주민자치연대는 "보편적 가치가 부모의 경제력이나 사고 등에 의해 교육받을 수 있는 것이라면 교육의 공공성이란 공염불에 불과하다"며 "평화학교가 인가형 사립학교를 추진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제주주민자치연대는 "오히려 이에 배정될 공적 예산이 교육청에 있다면 기존 학교에서 대다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평화교육을 펼칠 프로그램을 위해 쓰이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제주주민자치연대는 "평화학교는 일단 일반학교의 3배가 되는 등 경비가 부담되고, 기존 학생 선발방식과 달리 학생을 직접 선발하는 등 누구나 평화학교에 갈 수 없다"며 "평화학교가 애초의 설립취지를 지키고 보다 열려있는 공공의 교육을 펼치길 바란다"고 충고했다.